미국이 맺어 준 인연(?)…‘에너지 밀월’ 키워가는 중·러

미국이 맺어 준 인연(?)…‘에너지 밀월’ 키워가는 중·러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0-10-08 16:37
업데이트 2020-10-08 18: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러, 시베리아~중국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사업성 검토
중 “러시아 에너지 추가 수입” 요청한 것으로 보여
미국 압박 함께 이기고자 전략적 우호 확대 기조

미국이 맺어 준 인연(?)이라고 해야 할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압박이 중국과 러시아의 ‘에너지 동맹’을 더욱 공고히 만들고 있다. 세계 최대 에너지 생산 업체인 러시아 가즈프롬은 중국에 천연가스를 추가로 공급하고자 타당성 조사에 들어갔다. 중국은 ‘미국의 넘쳐나는 셰일가스를 사가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를 비웃듯 러시아산 에너지 소비를 늘리기로 결심한 것으로 보인다.

7일(현지시간) 미국 에너지매체 오일프라이스는 “러시아 국영 에너지 기업 가즈프롬이 차세대 천연가스 공급망 사업인 ‘파워 오브 시베리아2’ 타당성 조사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파워 오브 시베리아’는 러시아와 중국을 잇는 파이프라인 연결 사업을 말한다. 그간 러시아는 시베리아의 천연가스를 유럽 국가들에게 판매해 왔다. 하지만 2014년 3월 우크라이나 영토인 크림 공화국을 강제 합병하자 서방세계가 경제 제재에 나서 어려움을 겪었다. 이때부터 러시아는 ‘동방으로의 전환’을 시도했고 첫 번째 성과물이 ‘파워 오브 시베리아’ 파이프 라인이었다. 이르쿠츠크에서 시작해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까지 4000㎞ 구간이다. 이를 통해 가스프롬은 30년간 4000억 달러 규모의 천연가스를 중국에 수출한다.
러시아의 야말 반도에서 보바넨코보 가스전으로 이어지는 러시아 가즈프롬사의 송유관. AFP 연합뉴스
러시아의 야말 반도에서 보바넨코보 가스전으로 이어지는 러시아 가즈프롬사의 송유관. AFP 연합뉴스
러시아가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는 ‘파워 오브 시베리아2’ 프로젝트의 타당성을 검토한다는 것은 중국이 러시아산 에너지를 더 많이 수입하겠다는 의사를 밝혔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중국 입장에서는 미국의 압박이 장기화될 것으로 보고 ‘서구 국가들과의 절연’까지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이 라인이 완공되면 중국은 유럽 국가들을 제치고 가즈프롬의 최대 고객으로 올라선다. 특히 파워 오브 시베리아2는 시베리아에서 몽골을 경유해 중국으로 이어지도록 기획됐다. ‘차이나 머니’를 활용해 몽골에도 천연가스를 공급하고 에너지·화학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집권하면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중국의 가장 중요한 국빈이 됐다. 베이징의 한 소식통은 “과거 사이가 좋지 않았던 중국과 러시아가 시 주석이 집권하면서 갑자기 밀착했다. 그만큼 미국이 이들 국가에 압력을 가하고 있다는 방증”이라면서 “미국을 혼자서 감당하기 힘들다 보니 중러 양국이 힘을 합치는 형국”이라고 말했다.
러시아의 ‘파워 오브 시베리아2’(점선) 파이프라인 예상도. 몽골을 거쳐 중국으로 연결될 예정이다. 오일프라이스 캡처
러시아의 ‘파워 오브 시베리아2’(점선) 파이프라인 예상도. 몽골을 거쳐 중국으로 연결될 예정이다. 오일프라이스 캡처
러시아는 풍부한 천연자원과 구소련 지역인 중앙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데, 중국은 이를 자국 경제성장에 활용하고 싶어한다. 여기에 중국은 남중국해와 홍콩, 대만, 히말라야 등 ‘남쪽 국경’이 매우 혼란스럽다. 체제 안정을 위해서는 러시아와 맞닿은 ‘북쪽 국경’에서 반드시 평화를 지켜야 한다. 이 때문에 중국이 에너지를 매개로 러시아와의 우호 증진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매체는 내다봤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superryu@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