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성·시민의식·드라이브스루 “한국을 배워라”

투명성·시민의식·드라이브스루 “한국을 배워라”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20-03-13 14:29
업데이트 2020-03-13 14: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국인들 ‘확진자 동선’ 알려주는 ‘투명성 호평’
도시봉쇄 없이 코로나19 통제 “시민의식 높아”
백악관도 궁금해하는 드라이브스루 이동진료
이미지 확대
지난 4일 서울 서초구 소방학교에 설치된 코로나19 ‘드라이브스루’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차량에 탄 시민을 검사하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지난 4일 서울 서초구 소방학교에 설치된 코로나19 ‘드라이브스루’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차량에 탄 시민을 검사하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코로나19 확진자가 중국, 이탈리아, 이란에 이어 세계에서 4번째로 많은 한국이지만, 외국인들은 한국의 방역시스템을 벤치마킹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그 핵심은 투명성 확보와 높은 시민의식, 그리고 드라이브 스루 진료소와 같은 혁신 방역 등이다.

버즈피드는 12일(현지시간) 한국에 거주 중인 영국인 엘리스 에반스(26)를 통해 같은 취지의 보도를 했다. 에반스는 투명성을 한국의 큰 장점으로 꼽았다. 그는 “확진자수, 감염 의심자 수, 사망자 수와 함께 이들이 그간 어떻게 움직였는지 정보를 준다”며 “말 그대로 ‘이 근처에 있는 특정 건물에 가거나 확진자와 교류했다면 선별진료소를 방문해 달라’는 당국의 경보를 매일 받는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 공황상태는 거의 없다고 했다.

전날에는 워싱턴포스트(WP)가 “민주국가들이 보유한 강점을 이용한다면 공공의 건강을 보호하는 데 더 적합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그 실현 방식을 증명하는 국가가 바로 한국”이라고 치켜세웠다. WP는 “한국의 조치는 대중교육, 투명성 제고, 시민사회 참여에 집중돼 있다”며 “이는 수백만명을 강제로 가택연금하고, 정부 조치를 비판하면 누구든 없애버리는 중국 정부의 방식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서울 영등포구 자원봉사캠프와 자원봉사연합회 회원들이 지난 12일 생필품을 상자에 담아 포장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2020.3.13. 영등포구 제공
서울 영등포구 자원봉사캠프와 자원봉사연합회 회원들이 지난 12일 생필품을 상자에 담아 포장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2020.3.13. 영등포구 제공
영국 BBC도 “코로나19에 고전하는 다른 나라에 ‘롤모델’”이라고 평가했다. 하루 1만 5000건에 달하는 대규모 검사 능력도 강점으로 봤다. 한국의 치사율은 0.7%로 세계 평균(3.4%)보다 훨씬 낮은 상황이다. 이외 도시 봉쇄나 도로 폐쇄도 없이 코로나19를 통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민 사회의 자발적인 동참을 높이 샀다.

미국 백악관은 지난 8일 한국식 ‘드라이브 스루(Drive-Thru) 이동진료소’(이하 드라이브 스루)에 대한 노하우 공유를 요청해온 바 있다. CNN은 고양시의 드라이브 스루에 대해 ‘감염자와 의료진의 접촉을 막고 위치정보시스템(GPS)을 통해 검사 중 이탈자를 막을 수 있으며 신속한 검사가 가능하다’는 취지로 보도했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한국은 하루 1만건을 검사하는데 일본은 1200건에 불과하다’고 보도했었다. 유럽 언론들이 한국의 사례를 보도하면서 독일, 영국 등도 드라이브 스루를 도입한 상태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