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북미회담 회의론에 “그만 떠들어라” 반격

트럼프, 북미회담 회의론에 “그만 떠들어라” 반격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19-02-27 17:15
업데이트 2019-02-27 17: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베트남 주석궁에서 응우옌 푸 쫑 국가주석과 만나 양자회담을 가졌다. 2019.2.27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베트남 주석궁에서 응우옌 푸 쫑 국가주석과 만나 양자회담을 가졌다. 2019.2.27
AP 연합뉴스
2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민주당에서 잇따라 제기된 회의론에 대해 강하게 반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민주당은 내가 북한과 뭘 해야 하는지 그만 떠들어야 한다”면서 “대신 왜 그들(민주당)은 오바마 행정부 8년 동안 ‘그것’을 하지 않았는지 스스로 물어야 할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것’이란 북핵 문제 해결을 뜻하는 것으로, 오바마 행정부가 ‘전략적 인내’라는 명분으로 북한 문제에 손을 놓고 있었던 것을 지적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 동안 트럼프 대통령은 오바마 행정부 임기 말에 북한과 전쟁에 근접했었다며 자신이 아니었으면 북한과 큰 전쟁이 났을 것이라고 주장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트윗은 2차 북미정상회담에 대해 민주당 등 미국 내 조야에서 비관적 전망 내지 트럼프 대통령의 협상력에 의구심이 제기된 데 대한 반박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엘리엇 엥걸 미 하원 외교위원장(민주·뉴욕)은 25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차 북미 정상회담에 대해 “우리는 모두 성공을 원한다. 만약 대통령이 그것을 해낼 수 있다면 나는 대통령에게 잘 했다고 말하는 첫 번째 인물이 될 것”이라면서도 “진정으로 믿지 않으면서도 양보나 공허한 몸짓 또는 장래에 변화하겠다는 약속에 대한 대응으로 제재를 해제해선 안 된다”며 모든 단계에서 엄격한 조사와 검증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민주당 소속의 낸시 펠로시(캘리포니아) 하원의장도 “김정은도, 트럼프도 믿지 못하겠다. 지난 1차 정상회담은 트럼프가 김정은에게 준 선물”이라고 북미 정상 간 만남을 평가절하했었고, 척 슈머(뉴욕)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도 “북미정상회담은 리얼리티 쇼가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4일에도 트위터를 통해 “몇 년간 북한 문제에서 계속 실패하면서 아무 것도 이룬 게 없는 사람들이 내게 어떻게 협상해야 할지 얘기하는 걸 보고 있자니 참 웃기다. 어쨌든 고맙네!”라며 북미정상회담 회의론자들을 향해 일갈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