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 이어 항공·카펫… 美, 이란 제재 부활

석유 이어 항공·카펫… 美, 이란 제재 부활

이석우 기자
입력 2018-06-28 22:18
업데이트 2018-06-28 23: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항공기 부품·피스타치오·캐비어
8월 6일부터 거래 전면 중단
인도엔 원유 수입 중단 요구
“韓·日도 미국 정부와 논의 중”
이미지 확대
모디 만난 헤일리 “이란산 원유 끊어야”
모디 만난 헤일리 “이란산 원유 끊어야” 니키 헤일리(왼쪽) 유엔 주재 미국 대사가 27일(현지시간) 인도 뉴델리에서 나렌드라 모디(오른쪽) 인도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인도계 이민자의 딸인 헤일리 대사는 모디 총리에게 이란산 원유 수입 중단을 요구했다.
뉴델리 로이터 연합뉴스
이란산 카펫과 피스타치오, 캐비어를 수입하는 미국 기업의 면허와 미국이 운영권을 갖고 있는 외국 기업들의 이란에 대한 항공기 부품 수출 면허가 취소됐다.

미 재무부 산하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27일(현지시간) 웹사이트를 통해 대이란 제재 복원을 발표했다. 지난달 이란 핵합의(포괄적공동행동계획·JCPOA)로부터 탈퇴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본격적으로 제재를 부활시키고 있는 것이다.

OFAC는 오는 8월 6일부터 명신된 품목들의 대이란 거래를 중단해야 하고 위반 시 ‘2차 제재’ 등의 조치도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와 함께 이란으로부터의 원유 수입 등 다른 품목들에 대한 거래 면허도 수주일 안에 취소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미 이란산 원유 수입은 오는 11월 4일까지 중단해야 한다고 미 정부는 못박은 상태다. 고급 품목으로 통하는 이란산 카펫은 제3국 수입뿐 아니라 수십년 전 판매된 골동품 카펫의 거래도 전면 금지된다.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이날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에게 이란산 원유의 수입 중단을 요구했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헤일리 대사는 이날 모디 총리를 예방한 자리에서 “인도가 이란산 원유를 끊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헤일리 대사는 모디 총리를 면담한 뒤 기자들에게 “(이란에 대한) 제재 (재개)가 다가오고 있으며, 우리는 이를 진행할 것”이라면서 “우리와 강력한 관계를 맺고 있는 인도가 이란에 대한 (원유) 의존을 줄이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인도는 이란산 원유의 최대 수입국 가운데 하나다. 헤일리 대사는 “이를 어떻게 작동시킬지에 대해 양측(미국과 인도)이 정치적 의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로이터통신은 이란 원유의 주요 수입국 가운데 하나인 일본과 한국도 제재의 부정적 효과를 피하기 위한 시도로 미국 정부와 논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미 국무부 고위관리는 전날 오는 11월부터 이란산 원유의 수입 중단을 요구하면서 예외는 인정하지 않는다는 단서를 명시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과의 핵합의 파기를 선언하는 과정에서 전임인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 대해 미국이 지나치게 많은 대가를 줬지만 이란은 너무 적게 양보한 “최악의 거래”라고 비난해 왔다.

이석우 선임기자 jun88@seoul.co.kr
2018-06-29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