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외출 역대 최저로 감소한 까닭…고령화·인터넷 영향

일본인 외출 역대 최저로 감소한 까닭…고령화·인터넷 영향

입력 2016-12-29 16:26
업데이트 2016-12-29 16: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이나 장보기 등의 용무로 외출하는 일본인의 비율이 관련 조사가 시작된 이래 최저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국토교통성이 작년에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일이나 장보기 등의 용무로 한번이라도 외출한 사람의 비율은 평일 80.9%, 휴일 59.9%로 이 조사가 시작된 30년래 최저를 기록했다고 NHK가 29일 보도했다. 국토교통성은 인구의 고령화 외에 인터넷 보급 등으로 20대를 비롯한 젊은 층의 외출이 줄어든 것이 특히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국토교통성은 지역발전정책 마련에 참고하기 위해 대략 5년에 한번씩 이 조사를 실시한다.

이번 조사는 작년 10월과 11월 2개월에 걸쳐 전국 70개도시 주민 32만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대상자의 25%인 8만여명이 응답했다, 평일에 한번이라도 외출한 사람은 응답자의 80.9%, 휴일에는 59.9%로 나타났다. 10명중 4명이 휴일에는 한번도 집밖에 나가지 않은 셈이다.

첫 조사가 실시된 29년전과 비교하면 평일 외출자의 비중은 5.4% 포인트, 휴일은 9.6% 포인트 낮아졌다. 평일, 휴일 모두 조사 시작 이해 최저 수준이다.

연령별로는 목적지 1곳으로의 이동을 1회로 계산할 경우 70대가 1.60인데 비해 20대는 1.43으로 20대 젊은이의 외출이 70대 고령자보다 적었다. 29년전 첫 조사때는 20대가 2.29였다.

국토교통성 측은 “고령화에 더해 일하지 않는 사람이 늘어 나는 등 사회구조가 변한데다 인터넷 보급 등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