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한민구 “핵우산 등 확장억제 실행보장 방안 美와 논의”

윤병세·한민구 “핵우산 등 확장억제 실행보장 방안 美와 논의”

입력 2016-10-19 07:22
업데이트 2016-10-19 07: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전 참전용사 기념공원 헌화로 워싱턴DC 방문일정 시작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미국 측과의 외교·안보 협의 과정에서 확장억제력의 구체화 또는 실행 보장 방안 등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국을 방문한 윤 장관과 한 장관은 18일(이하 현지시간) 워싱턴DC 한국전쟁 참전용사 기념공원에 헌화한 뒤 기자들과 만나 6·25 전쟁에서 산화한 미군 용사들에게 “깊은 경의”와 “깊은 감사”를 표한 뒤 이같이 설명했다.

한 장관은 19일 열리는 한미 외교·국방(2+2)장관회의와 20일 열리는 한미 연례안보협의회(SCM)가 “북한의 핵능력이 고도화되고 지속적인 위협을 가하는 엄중한 안보상황 속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그 어느때보다도 의의가 크다”고 전제한 뒤 “미국의 핵우산을 포함한 확장억제의 실행을 보장하는 방안, 그리고 한미연합방위태세를 강화하는 여러 과업”들을 미국 측과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이 “과거와는 차원이 다르다”고 말문을 연 윤 장관은 이번 2+2 회의에서 “특히 (미국의) 한국에 대한 방위공약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는 확장억제를 구체화하고 제도화하는 방안에 대해서 심도있는 논의를 하겠다”고 풀이했다.

확장억제는 미국이 동맹국에 대해 미 본토와 같은 수준의 핵무기를 통한 억제력을 제공하는 것을 뜻하며 핵우산과 미사일방어체계 뿐 아니라 재래식 무기도 동원된다.

윤 장관은 국제사회에서 진행 중인 북한에 대한 제재를 안보리 차원의 제재와 미국 등 우방국의 독자제재, 그리고 다른 국가들의 대북압박조치 등 세 가지로 구분한 뒤 “이번 2+2 회의에서 이런 세가지 축에서 이뤄지는 제재의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한미 양국의 지혜를 모으는데 논의의 중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윤 장관과 한 장관은 19일 미 국무부에서 존 케리 미 국무장관, 애슈턴 카터 미 국방부 장관과 양국간 현안을 협의할 예정이고, 한 장관은 20일 미 국방부에서 열리는 SCM에 참석한다.

1968년부터 매년 열려 온 SCM은 한미 양국 국방장관이 동맹의 주요 현안을 논의하는 협의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