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서 백기 든 우버, 인도로 타깃 전환

中서 백기 든 우버, 인도로 타깃 전환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16-08-09 22:54
업데이트 2016-08-10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3조원 시장… 공격적 투자로 설욕

세계 최대 차량호출 서비스 시장인 중국에서 글로벌 기업 우버와 현지 최대 업체 디디추싱 간의 진검 승부가 디디추싱의 승리로 끝이 나면서 전장이 제2의 시장인 인도로 급속하게 이동하고 있다. 지난 1일 중국 현지 법인을 디디추싱에 넘기면서 백기를 든 우버는 인도 시장에 공격적으로 투자해 설욕을 벼르고 있다. 하지만 인도 토종 업체인 올라는 시장 1위 자리를 사수하기 위해 중국, 일본 등으로부터 적극적으로 자금을 끌어오려 하고 있다.

로이터는 중국에서 철수한 우버가 중국에 묶여 있던 자원, 인력, 기술 등을 인도에 재배치하고 있다고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인도의 차량호출 서비스 시장 규모는 150억 달러(약 13조원)에 달하며 이 중 올라가 시장의 50%를 점유해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우버가 30%로 뒤쫓고 있다. 앞서 우버는 지난 2월 벵갈루루에 연구개발센터를 열고 우버 애플리케이션(앱)에 탑재될 인도 지도를 제작하기 위해 기술자를 파견하는 등 시장 진출의 기틀을 다져 왔다. 우버는 지난해 인도 시장에 10억 달러를 투자했다. 인도 언론 이코노믹타임스는 “우버가 중국에서 손을 떼면서 인도에 투자할 역량이 2~3배 늘었다”고 전했다.

올라는 우버의 추격을 따돌리기 위해 지금까지 8차례에 걸쳐 일본의 소프트뱅크 등 19개 투자자로부터 모두 11억 8000만 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으며, 올해 10억 달러의 자금을 추가로 끌어온다는 계획이다. 앞서 올라는 지난 4월 3000만 달러를 자사에 투자한 디디추싱에 우버와의 전쟁을 위해 추가 투자를 요구했다고 로이터가 전했다. 당시 디디추싱은 “중국에서 우버와의 경쟁 문제를 해결한 뒤 지원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6-08-10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