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올랜도 총기난사 과정서 경찰 ‘늑장대응’ 도마 올라

美 올랜도 총기난사 과정서 경찰 ‘늑장대응’ 도마 올라

입력 2016-06-14 08:31
업데이트 2016-06-14 08: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찰 진입 적기 놓쳐 애꿎은 희생 커졌다” 비판 쏟아져

이미지 확대
12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의 한 게이클럽에서 총기 난사 사건이 벌어져 FBI와 올랜도 경찰이 조사를 벌이고 있다. 2016. 6.13 AP 연합뉴스
12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의 한 게이클럽에서 총기 난사 사건이 벌어져 FBI와 올랜도 경찰이 조사를 벌이고 있다. 2016. 6.13
AP 연합뉴스
미국 플로리다 주 올랜도에서 발생한 총기난사 과정에서 경찰의 ‘늑장대응’으로 애꿎은 희생을 늘렸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13일(현지시간) 미국 언론들에 따르면 경찰 특공대(SWAT)가 사건 용의자 오마르 마틴(29)을 붙잡기 위해 나이트 클럽내로 진입한 시간은 사건 발생 3시간 뒤였다.

이때는 반자동 소총 등으로 중무장한 용의자 마틴이 이미 수십여 발을 쏴 클럽안에 있던 49명을 숨지게 하고 53명에게 다치게 한 뒤였다.

총격사건 전문가들은 “사건 발생 시각부터 경찰특공대가 진입 작전을 개시했어야 했다”면서 “경찰의 늑장대응이 참사를 불렀다”고 비판했다.

이에 존 미나 올랜도 경찰국장은 “마틴이 화장실에서 911 전화로 이슬람 급진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에 충성을 서약했다고 밝혔을 때는 총격을 멈추고 인질을 잡고 있던 상황”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인질들이 도망쳐 나왔을 때 경찰특공대가 진입해 용의자 마틴을 사살했다”고 부연했다. 미나 국장은 또 마틴이 건물 곳곳에 폭발물을 설치했다고 밝혀 섣불리 진입했다가 자칫 대형 참사로 이어질 것도 우려했다고 부연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올랜도 경찰의 대응은 위험한 상황이라도 경찰이 가능한 한 빨리 총격범이 있는 곳으로 침투해 들어가야 생명을 구할 수 있다는 과거 사례의 교훈을 잊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직 경찰특공대원이자 총격범죄 전문가인 크리스 그롤넥은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과거 총기 난사 사건들로부터 얻은 교훈은 경찰의 즉각적인 작전 개시가 무대응보다 100% 낫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들은 현장에서 총기 난사를 하는 총격범과 인질을 잡은 총격범에 맞서는 전술은 각각 달라야 한다고 지적했다.

총격범이 총기 난사를 하고 있을 때는 현장에 경찰 1∼2명이 있더라도 즉각 진압작전을 펼쳐야 하며, 총격범이 인질을 붙잡고 있을 때는 협상작전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미국 경찰의 대량 총기 난사 사건 대응전술은 1999년 컬럼바인 고교에서 발생한 총기 난사 사건 이후 바뀌었다고 언론들은 전했다.

당시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관은 경찰특공대가 출동할 때까지 총격범 주변을 에워싸고 간헐적인 교전만 벌였다. 경찰특공대가 현장에 도착한 것은 45분이 지난 뒤였다. 그 사이 총격범들은 학생 12명과 교사 1명을 죽였다.

당시만 해도 경찰 총기 난사 사건 대응수칙은 현장에 경찰관이 도착한 뒤 주변을 에워싸고 경찰특공대가 도착 즉시 내부로 진입한다는 게 핵심이었다.

컬럼바인 고교 총기난사 사건을 경험한 뒤 경찰은 진압작전 시간이 늦어질수록 총격범들은 시간을 벌게 되고 그것은 희생을 더 늘리는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는 교훈을 얻게 됐다는 것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