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금융위기 탓에 암환자 50만명 더 사망”

“세계 금융위기 탓에 암환자 50만명 더 사망”

입력 2016-05-26 15:46
업데이트 2016-05-26 15: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랜싯 게재…실업률·의료복지 지출로 추론

2008∼2010년 전 세계에 닥친 금융위기 당시 실업률이 높아지고 의료복지 지출이 줄면서 죽지 않을 사람이 50만명이나 더 암으로 숨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 저자인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마히벤 마루타푸 박사는 “2008∼2010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회원국에서 암 환자가 26만 명 이상 많았던 것은 경제위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26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말했다.

연구에 따르면 실업률이 1% 증가할 때마다 10만 명당 0.37명의 암 환자가 추가로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의료복지 지출이 1% 줄어들면 10만 명당 0.0053명의 추가 사망자가 나왔다.

이에 따라 “전 세계에서 이 시기에 숨진 암 환자는 50만 명을 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마루타푸는 설명했다.

지역·국가별로는 유럽연합(EU)에서 16만 명, 미국에서 1만8천 명, 프랑스에서 1천500명이 희생된 것으로 나타났다.

보편적인 의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페인이나 영국에서는 추가 사망자가 나오지 않았다.

마루타푸는 “암은 전 세계에서 주요한 사망 원인이기 때문에 경제적 변화가 암 환자 생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실업률이 증가하는 것은 암 사망률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보편적인 의료복지 서비스가 이런 영향을 방어한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특히 유방암이나 전립선암, 결장암 등 치료 가능한 암이면 효과가 뚜렷했다”고 덧붙였다.

공동 저자인 하버드대 리파트 아툰은 “일자리가 없으면 환자가 늦게 진단을 받게 되고, 치료의 질도 떨어지거나 늦어지게 된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실업률과 의료 복지 지출, 암 사망률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70개국 20억 명에 대한 세계보건기구(WHO)와 세계은행 통계를 이용해 1990∼2010년의 경향을 분석했다.

이 연구는 저명 의학 저널 ‘란셋’에 실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