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은 취직 중’…공장·은행·피자가게까지 인간 대체

‘로봇은 취직 중’…공장·은행·피자가게까지 인간 대체

입력 2016-05-26 15:18
업데이트 2016-05-26 15: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폭스콘 6만명 제조인력 로봇으로 대체 피자헛 로봇 점원 도입…로봇 은행원 등장

대기업 공장은 과거에도 로봇팔 등 초기 단계의 로봇들을 사용해 공장의 로봇화는 사실 새롭지는 않다.

그러나 놀라운 것은 인공지능 등을 장착한 로봇들이 인간의 고유 영역으로 여겨온 서비스 분야까지 급속히 파고든다는 것이라는 점이다.

올해 연말부터 아시아 지역 피자헛 매장에서 로봇이 계산원을 하는 진풍경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소프트뱅크가 개발한 휴머노이드 ‘페퍼’가 투입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이 로봇은 피자 주문에서부터 피자값 계산까지 일련의 과정을 모두 담당하게 된다.

페퍼는 초등학교 저학년생 정도의 크기로 사람의 표정이나 목소리를 인식하고 감정을 이해하고 스스로 움직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미 일본에서는 수천 대의 페퍼가 판매됐다. 이들 중 3분의 1은 작동과정이나 사용법 설명 시 보조나 고객 도우미 등 사업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로봇 은행원도 속속 도입되는 추세다.

일본 최대은행인 도쿄-미쓰비시UFJ은행(BTMU) 도쿄지점에는 말하는 로봇이 있다. 주인공은 인간 신체와 유사한 모습을 갖춘 휴머노이드 로봇 ‘나오’로 키는 58㎝에 불과하지만 재주가 많다.

일본어·중국어·영어 등 모두 19개 언어를 구사할 뿐 아니라 고객의 행동과 표정을 분석해 스스로 고객의 요구 사항에 맞춰 행동할 수 있다.

미국 스털링뱅크&트러스트는 최근 신설지점에 로봇을 안내원으로 배치했다. 영국의 대형은행 바클레이스도 자금이체업무에 로봇기술을 활용할 예정이다. 싱가포르의 DBS은행, 호주의 ANZ은행 등도 자산관리분야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이처럼 세계적인 은행들이 로봇을 도입하는 이유는 오류비율을 낮출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또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에서 자동화가 이뤄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세계 최대 패스트푸드 업체 맥도날드의 전 최고경영자(CEO) 에드 렌시가 직원 시급을 올려줄 바에 로봇을 쓰겠다고 발언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