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당국, 프랑스 기자 추방 “밝힐 수 없는 이유”

이집트 당국, 프랑스 기자 추방 “밝힐 수 없는 이유”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16-05-26 10:16
업데이트 2016-05-26 1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집트 여객기 추락 사고의 수색과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프랑스와 협력해야 할 이집트가 프랑스 기자를 추방해 프랑스 외교부의 항의를 받았다.

이집트 당국은 카이로에서 2년 가까이 프랑스 매체 특파원으로 일했던 레미 피가글로의 이집트 재입국을 23일 불허하고, 그 이튿날 터키 이스탄부행 항공기에 파가글로를 태퉈 추방했다고 미국 뉴욕타임스(NYT) 등이 25일 보도했다.

파가글로는 2014년 8월부터 프랑스의 가톨릭 매체인 ‘라 카로아’와 라디오 방송인 RTL에서 일했고, 프랑스에서 휴가를 보내고 이날 카이로에 도착했다.

사메 쇼쿠리 이집트 외무장관은 장마르크 에로 프랑스 외무장관에게 ‘밝힐 수 없는 보안상 이유’로 입국이 금지됐다고 설명했으나 에로 장관은 “유감스러운 일로 이집트 당국에 재고를 요청한다”고 밝혔다.

이집트 기자들이 투옥되거나 압력을 받는 경우는 많지만, 이집트 당국은 외국과 관계 악화를 우려해 외국 기자를 추방하는 등의 압력을 행사하는 일은 드물었다.

프랑스는 지난달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이 이집트를 방문, 10억 달러(약 1조 1800억원) 규모의 프랑스산 무기를 판매하기로 계약한 상태로 이집트의 주요한 동맹국이다.

최근 프랑스 의원들의 방문을 받은 자리에서 압델 파타 엘시시 이집트 대통령은 양국의 동맹을 거듭 확인하며 항공기 추락 상황에서 양국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어 프랑스 특파원의 추방이 양국의 관계 악화를 예고하는 게 아니냐는 추측을 낳는다고 NYT는 분석했다.

카이로 주재 외신 특파원단은 파가글로의 추방에 대해 “감시와 위협, 추방, 억류 등 압박이 늘어나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내용의 연명 서한을 작성, 이집트 당국에 보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