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지 마비 미국 청년, 뇌에 심은 센서로 6년 만에 손 작동

사지 마비 미국 청년, 뇌에 심은 센서로 6년 만에 손 작동

입력 2016-04-14 07:17
업데이트 2016-04-14 07: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척추를 다쳐 사지가 마비된 미국의 24세 청년이 뇌에 심은 전자 센서를 통해 손을 움직일 수 있게 됐다.

학술지 네이처(NATURE)는 오하이오 주 더블린의 이안 버크하트(24)가 6년 전 사고를 당해 팔다리를 사용할 수 없게 됐으나, 전자 센서를 이용해 오른손을 움직이게 됐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13일(현지시간) 실었다.

이 청년은 병을 잡을 수 있으며, 주전자에 물을 부어 막대기를 쥐고 휘저을 수도 있다.

또 신용카드를 쥐고 인식기에 읽힐 수도 있다.

이 청년이 손을 움직이게 된 것은 뇌에 심어진 센서의 작동 때문에 가능해졌다.

센서에서 나오는 신호가 컴퓨터에서 번역되며, 이는 팔에 있는 전극에 전달돼 손 근육을 자극하는 원리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하지만 아직은 한계가 있다.

이 청년이 손을 움직이는 시간은 일주일에 몇 시간으로 제한되며, 움직일 수 있는 공간도 실험실로 한정돼 있다.

버크하트는 “기기를 집에서 이용할 수 있다면 내 삶의 질이 나아지고 독립된 생활이 훨씬 많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더 향상된다면 뇌 손상을 입었거나 뇌졸중을 당한 사람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를 주도한 미국 페인스타인 의학 연구소의 채드 부턴 박사는 “우리는 신경세포 사이의 일부 대화만 엿듣고 있는 것”이라면서 “신경세포들이 무엇에 대해 이야기하는지를 이해하려고 계속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