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F-16 전투기 자율조종 무인기로 개조 계획

미국, F-16 전투기 자율조종 무인기로 개조 계획

입력 2016-04-02 10:29
업데이트 2016-04-02 10: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이 F-16 전투기를 자율 조종과 전투 기능을 갖춘 무인기로 개조하는 계획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 경제 주간지 포천은 로버트 워크 국방부 부장관 등을 인용, 미 공군 연구소가 지난 1980년대 생산된 노후 F-16 전투기를 스스로 조종하고 전투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무인기로 개조, 최신예 F-35 스텔스 전투기와 짝을 이루어 비행하게 하는 구상을 추진 중이라고 31일 보도했다.

워크 부장관은 전날 워싱턴 DC에서 열린 한 포럼에 참석해 자율주행 차량이 본격적으로 상용화하기전에 자율 조종 기능을 갖춘 무인 전투기가 유인 전투기와 함께 하늘을 정기적으로 다니는 날이 현실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예를 들면 4세대 F-16 전투기를 완전히 무인기로 개조하고 이를 5세대인 F-35 스텔스기와 함께 짝을 이뤄 작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무인전투기를 유인전투기의 호위기로 함께 실전에 투입하는 “로열 윙맨”(Loyal Wingman)이라는 이름의 이 구상은 몇 년 전부터 공군을 중심으로 논의돼왔다.

실제로 미 공군은 지난 2013년 보잉사와 함께 퇴역한 F-16 전투기 일부를 무인 공중 표적기(QF-16)로 개조했다. 이전에도 공군은 베트남전 당시 사용한 F-4 팬텀 전폭기를 실탄 표적 연습에 사용한 적이 있다.

그러나 자율 조종 무인기와 원격 조종 무인기는 전혀 다르다. 미 공군이 원하는 유형은 원거리에서도 조정이 가능한 무인기가 아니라 짝을 이룬 다른 유인기의 조종사로부터 지시를 받고 스스로 조종할 수 있는 무인기다.

공군연구소(AFRL)는 “지상 관제소와 유인기로부터 모든 지시를 받지 않고 기체에 장착한 자율 기능으로 호위기로서 기본적인 작전을 수행하기에 충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AFRL은 이에 따라 뇌 역할을 하는 자율 알고리즘을 개발해 F-16 같은 노후 기종에 장착, 자율 비행 호위기 역할을 하도록 할 계획이다. 공군은 오는 2018년 공식적인 프로그램에 들어가 오는 2022년에는 비행 시험을 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