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도발 여파 中 북방 석탄수급 차질…곳곳서 난방비 상승

북핵도발 여파 中 북방 석탄수급 차질…곳곳서 난방비 상승

입력 2016-03-11 14:15
업데이트 2016-03-11 14: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한 핵도발에 따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대북제재로 북한의 대중(對中) 광물 수출이 막히면서 중국 북방의 석탄수급이 차질을 빚고 있다.

11일 중국항구망(中國港口網)에 따르면 중국이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에 앞서 지난 1일부터 북한 접경지역인 랴오닝(遼寧)성 단둥(丹東)항 등 항구에서 석탄을 비롯한 북한산 광물 수입을 금지한 데 이어 산둥(山東)성 리자오(日照)항을 통한 광물 수입도 차단했다.

중국 당국은 북중 교역의 70% 이상을 담당하는 단둥과 북한 신의주 간 육로를 통한 석탄 반입에 대해서도 금지조치를 내렸다.

중국항구망은 “단둥항과 리자오항이 모두 북한산 석탄을 들여오는 중요 환적기지”라며 “수입금지 조치를 내린 지 10일 가량 지난 상태에서 석탄수급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이 매달 북한에서 수입하는 석탄물량이 160만t에 이르고 월 1천500만~1천600만t의 석탄이 소비되는 것을 감안할 때 당장 대체할 만한 수입선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현재 중국은 주로 북한과 베트남에서 석탄을 들여오는데 운송비 등을 고려해 북한산 석탄을 대개 양쯔(楊子)강 이북 지역에 판매하고 베트남산 석탄은 양쯔강 이남 지역에 판매한다.

중국 북방에 수입되는 북한산 석탄은 대개 겨울철 주택 난방용으로 소비되는데 수입금지로 인해 최근 북방도시 난방비가 올랐다.

동북3성 중심도시인 랴오닝성 선양(瀋陽)시 민정국이 밝힌 겨울철 아파트 주민난방공급가격은 작년 12월 기준 ㎡당 23.3 위안(4천298.6원)에서 최근 석달 만에 ㎡당 26 위안(4천796.7원)으로 11.6% 인상됐다.

중국의 북한산 석탄 수입량은 연간 1천958만t으로 중국 전체 석탄 수입량의 10%에 해당한다

리자오항에서 북한산 석탄을 수입하는 한 무역상은 중국항구망과의 인터뷰에서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른 제재가 장기화할 경우 난방 및 공업용 석탄 수급에 타격이 클 수 밖에 없다”며 다른 수입처를 물색해야 할 처지라고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