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후쿠시마원전 인근 고농도 피폭지역 오염제거 추진

日, 후쿠시마원전 인근 고농도 피폭지역 오염제거 추진

입력 2016-03-11 13:19
업데이트 2016-03-11 13: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년도부터 ‘귀환 곤란 구역’ 오염 제거해 축소 구상

일본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 사고 후 방사선량이 높아 거의 손을 대지 못했던 이른바 ‘귀환(歸還) 곤란 구역’에 대한 오염 제거작업이 내년부터 본격 실시된다고 요미우리(讀賣)신문이 11일 보도했다.

귀환 곤란 구역은 연간 피폭선량이 50m㏜(밀리시버트)를 넘는 구역으로 방사선량이 높아 인간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울타리 등의 물리적 차단 장치가 설치된 영역이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올해 여름에 귀환 곤란 구역이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의견을 수렴하고 나서 오염제거 작업을 우선 시행할 지역을 결정할 방침이다.

일본 정부를 내년도 예산요구서에 귀환 곤란 구역의 오염 제거 사업 비용을 반영한다.

또 올해 개정할 ‘후쿠시마 부흥재생 기본 방침’에 오염 제거 작업을 시행해 귀환 곤란 구역을 축소하는 구상을 담을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는 그간 연간 피폭선량이 20m㏜ 초과 50m㏜ 이하인 ‘거주 제한 구역’과 20m㏜ 이하인 ‘피난지시 해제 준비구역’의 오염 제거 작업을 상당히 진행했으나 귀환 곤란 구역은 오염을 거의 제거하지 않고 내버려뒀다.

일본 정부는 2013년 10∼12월 귀환 곤란 구역 일부에서 실시한 시험적인 오염제거 작업의 효과가 대체로 유지되고 있다고 평가하고 귀환 곤란 구역에 대해서도 오염 제거 작업을 추진한다.

귀환 곤란 구역은 사고가 난 후쿠시마 제1원전 인근에 있는 7개 시초손(市町村, 기초자치단체)에 걸쳐 있으며 총 면적은 약 337㎢로 서울 면적의 절반을 약간 웃도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는 거주 제한 구역과 피난 지시 해제 준비구역의 오염 제거 작업을 내년 3월까지 마치고 구역 지정을 해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