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총통, 28일 남중국해 분쟁수역 방문…주변국 반발할 듯

대만총통, 28일 남중국해 분쟁수역 방문…주변국 반발할 듯

입력 2016-01-27 11:09
수정 2016-01-27 11: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마잉주(馬英九) 대만 총통이 분쟁 수역인 남중국해를 방문하기로 해 주변 분쟁당사국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27일 대만 중앙통신에 따르면 천이신(陳以信) 대만 총통부 대변인은 날씨가 허락한다면 마 총통이 춘제(春節ㆍ음력설)를 앞두고 28일 남중국해 분쟁도서인 스프래틀리 군도(중국명 난사<南沙>군도)의 타이핑다오(太平島·영문명 이투 아바)를 방문해 섬 주민을 위문할 것이라고 밝혔다.

천 대변인은 외교부가 마 총통의 타이핑다오 방문 계획을 관련 우방에 정식으로 통지했다고 전했다.

또, 그는 쩡융촨(曾永權) 총통부 비서장이 마 총통을 대신해 린시야오(林錫耀) 전 민진당 주석에게 연락해 차기 총통 당선인인 차이잉원(蔡英文·여) 민진당 주석에게 타이핑다오 방문에 참석할 사람을 보내 달라고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천 대변인은 타이핑다오가 중화민국(대만)의 고유영토라며 천수이볜(陳水扁) 전 총통이 임기 중 방문한 적 있다고 강조했다.

대만이 1958년부터 실효 지배 중인 타이핑다오는 대만 남부 도시 가오슝(高雄)에서 1천600㎞ 떨어진 0.49㎢ 규모의 소규모 섬으로 스프래틀리 군도에서 자연섬으로는 가장 규모가 크다. 중국이 매립 공사를 통해 융수자오(永暑礁·피어리 크로스)를 확장하면서 두 번째 큰 섬으로 밀려났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