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국방비 세계 10위…”北 미사일기술 괄목성장”

韓 국방비 세계 10위…”北 미사일기술 괄목성장”

입력 2015-02-12 09:59
업데이트 2015-02-12 09: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IISS 연례 보고서…미국-중국-사우디-러시아 순

한국은 지난해 세계 10위 수준의 국방예산을 지출했다고 영국의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가 11일(현지시간) 밝혔다.

IISS가 이날 공개한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한국의 국방예산은 344억달러(약 38조700억원)로 독일(439억달러)에 뒤이어 10위에 랭크됐다.

미국이 5천810억 달러(643조 원)로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중국(1천294억 달러), 사우디아라비아(808억달러), 러시아(700억달러), 영국(618억달러)이 5위권에 포진했다.

477억 달러(55조7천800억 원)의 국방비를 쓴 일본은 7위로 기록됐다.

상위 15위까지 공개된 이번 국방비 지출 순위에 북한은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IISS는 북한에 대해 “미사일 기술과 대량살상무기 능력을 크게 늘렸다”고 평가했다.

IISS는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서방 국가들의 국방비 지출은 감소하는 추세지만 아시아 국가들의 국방비 지출은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중국의 경우 아시아 전체에서 차지하는 국방비의 비율이 2010년에는 28%였지만, 지난해에는 38%로 급증했다.

IISS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인접 국가들과의 영토분쟁과 미국의 역내개입을 막기 위해 국방력을 강화했다”며 “중국의 군사적 목표는 지역 패권을 쥐고, 외부로부터의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재래식 억지력을 갖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전세계 국가들의 국방비는 전년도에 비해 1.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IISS는 유가하락과 러시아 경제위기 탓에 올해 전세계 국가들의 국방비 지출액 상승속도는 다소 주춤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IISS는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가 한정된 목표지역에 대해 제한된 군사력만 사용하고, 소셜미디어 등을 사용해 적극적으로 여론 형성에 나서는 ‘하이브리드 전쟁’을 벌이고 있다고 규정했다.

IISS는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단체인 ‘이슬람국가’(IS)의 전쟁 수행 방식도 하이브리드 전술과 유사하다면서 중국이나 이란 등도 러시아의 전술을 교범으로 삼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