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원전 재가동 속속 추진…도쿄전력도 신청

일본 원전 재가동 속속 추진…도쿄전력도 신청

입력 2013-09-27 00:00
업데이트 2013-09-27 14: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후쿠시마 원전과 기본형태 동일한 모델, 비판 예상

일본 전력회사들이 원전 재가동을 위해 본격 추진하고 나섰다.

방사능 유출 사고가 난 후쿠시마 원전의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니가타(新潟)현의 가시와자키카리와(柏崎刈羽) 원전 6·7호기에 대해 27일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에 원자로설치변경허가, 공사계획인가, 원자로시설보안규정변경인가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운행을 중단한 원자로를 재가동하기 위해 올해 7월부터 시행된 새로운 원전규제기준에 따라 심사를 요청한 것이다.

6·7호기는 개량비등수형경수로(ABWR)다. 원전사고가 난 후쿠시마 제1원전의 원자로가 비등형경수로(BWR)인데 이를 개량한 것일 뿐 기본적으로는 비슷한 형태의 원자로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BWR에 대한 재가동 신청이 접수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도쿄전력은 올해 7월 다른 전력회사와 함께 원전 재가동을 신청할 예정이었으나 니가타현의 반대에 부딪혀 보류했다.

전날 히로세 나오미(廣瀨直己) 도쿄전력 사장이 이즈미다 히로히토(泉田裕彦) 니가타 지사를 만나 조건부 승인을 받으면서 재가동을 향한 움직임이 급물살을 타게 됐다.

도쿄전력은 후쿠시마 사고에 따른 재정난을 덜고자 원전 재가동을 계속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히로세 사장은 7·8호기 외 다른 원자로에 관해서 “당연히 준비는 진행되고 있다. 준비가 도면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말해 이런 전망에 무게를 실었다.

그러나 후쿠시마 원전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전 세계인의 불안이 커지는 상황에서 사실상 같은 종류의 원전 재가동을 추진하는 것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커질 전망이다. 원자력규제위원회의 심사에서도 상당한 난항이 예상된다.

아사히(朝日)신문에 따르면 도마리(泊) 원전 1∼3호기, 오이(大飯) 원전 3·4호기, 다카하마(高浜) 원전 3·4호기, 이카타(伊方)원전 3호기, 센다이(川內) 원전 1·2호기, 겐카이(玄海)원전 3·4호기 등 12개의 원자로가 이미 재가동 심사를 신청했다.

이들 원자로는 가압경수로(PWR)다.

시마네(島根)원전 2호기가 다음 달에, 하마오카(浜岡)원전 4호기가 연내에 각각 재가동 심사를 신청할 예정이다.

일본은 전국의 원자로 50기 가운데 오이(大飯) 원전 4호기가 이번 달 16일 정지해 원전 ‘제로’ 상태가 됐다.

다수 원자로의 심사를 신청했기 때문에 탈락 설비를 고려하더라도 연말이나 내년 초에는 다시 여러 개의 원자로가 가동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