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턴 “중국이 남북통일 지원하게 설득해야”

볼턴 “중국이 남북통일 지원하게 설득해야”

입력 2013-02-21 00:00
업데이트 2013-02-21 03: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 미국 유엔 대사, WSJ 기고문에서 북핵 위협 해법으로 제시

존 볼턴 전 유엔 주재 미국 대사가 북한의 핵위협에 대한 최선의 해법은 중국이 한국과 북한의 평화적 통일을 지원하도록 설득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기업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활동 중인 볼턴 전 대사는 2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기고문에서 북한의 핵위협에 대한 해법과 관련, “제재론과 군사력을 동원해야 주장 모두 한계와 제약이 있다”면서 이같이 주장했다.

볼턴 전 대사는 북한의 핵위협에 대처하는 가장 확실한 대안은 “현재의 북한 정권을 핵을 포기할 정권으로 교체하는 것”이라면서 “이런 목적은 한반도의 평화적인 통일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은 아시아의 불안정이 자신의 경제 발전을 저해한다는 이유로 북한의 핵무기를 공개적으로 반대하고 있지만 에너지와 식량 원조 등 북한을 통제할 수단이 있으면서도 현실에서는 이런 논리를 따르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의 모순적인 대응은 “북한 정권 붕괴에 따른 난민 유입과 압록강 주변의 미군 배치 가능성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볼턴 전 대사는 이런 두려움은 과장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북한 정권이 붕괴하면 한국, 미국, 일본은 난민 위기를 막고 완화하는 데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할 것이며 미국은 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에서의 기동성 확보를 위한 미군의 주둔을 희망하지 압록강 배치는 필요하지도 원하지도 않는다”고 근거를 제시했다.

볼턴 전 대사는 “중국이 이런 목적의 미군 주둔도 환영하지 않겠지만 압록강의 미군 배치보다는 좋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따라서 “중국이 한국과 북한의 통일을 지원하도록 설득하는 게 가장 좋은 해답”이라면서 “중국이 이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자신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한국과 일본의 핵개발이라는 현실에 직면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실제 한국에서는 핵무기를 가져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비슷한 논의가 이뤄지는 등 북한 핵을 통제하지 못하면 동북아시아의 핵무기 경쟁이 촉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볼턴 전 대사는 “남북통일 전략은 오래전부터 추진됐어야 했지만 그렇지 못했다”면서 “하지 않는 것보다는 늦게라도 하는 게 좋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