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주한미군 성폭행 사건에 신속 대응

美, 주한미군 성폭행 사건에 신속 대응

입력 2011-09-29 00:00
업데이트 2011-09-29 14: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과거 불미스런 사건 때의 쓴 교훈 ‘반면교사’ 삼은 듯

미국이 주한미군의 10대 여학생 성폭행 사건에 대해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유감 표명을 하며 대응에 나섰다.



사건이 알려진 지 채 하루가 지나기 전에 한반도 라인을 책임지는 국무부 고위 당국자들이 잇따라 입장 표명을 한 점은 눈길을 끈다.

커트 캠벨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28일(이하 현지시간) 오후 2시께 한덕수 주미 한국대사에 게 전화를 걸어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며 “이번 사건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한국 정부와 긴밀히 협조해 나갈 것”이라는 미 행정부 입장을 전했다.

이어 빌 번즈 국무부 부장관도 이날 오후 5시30분께 이어 한 대사에 전화를 통해 같은 입장을 전하면서 유감을 표명했다.

이에 앞서 에드워드 카돈 주한미군 2사단장이 성명을 통해 유감와 사과 성명을 밝힌 것과 별도로 국무부 차원에서 직접 대응에 나선 것은 그만큼 이번 사건으로 인한 한국 내 여론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는 점을 반증한다는 분석이다.

시기적으로 이명박 대통령의 국빈 방미를 앞두고 있어 자칫 워싱턴 한미정상회담 분위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다, 잇따른 선거 등 한국의 정치일정을 고려한 정무적 판단이 기민한 대응을 낳았을 수 있다.

무엇보다 지난 2007년 주한미군 장갑차에 의한 효순ㆍ미선 양 사망 사건 때의 쓰라린 교훈도 ‘반면교사’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당시 한국 내 여론과 동떨어진 둔감한 대응으로 반미감정을 확산시킨 데 대한 반성은 국무부 대(對) 한반도 라인의 대응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 5월 경북 왜관의 미군기지 내 고엽제 매몰 의혹이 불거졌을 때도 미 행정부는 이를 예민한 사안으로 인식하고, 사태 초기부터 주도면밀하게 대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당시 미 행정부 당국자로부터 “미 정부는 최고 수준의 관심(highest level’s attention)을 갖고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는 메시지도 나왔었다.

이번 10대 여학생 성폭행 사건도 초동단계에서 발 빠르게 ‘사죄’, ‘유감’ ,‘철저 조사 협조’ 등의 입장을 표명한 것도 이 같은 흐름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다.

워싱턴의 외교 소식통은 “이번 사건 자체가 용인할 수 없는 사건이라는 점에서 미 정부 차원의 인식을 전달한 것”이라며 “더불어 공고하다는 한미동맹이 우발적 사건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관리하려는 행정부 내 분위기가 어느 때보다 강한 것 같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