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수업체 “亞~ 블루오션이여”

군수업체 “亞~ 블루오션이여”

입력 2011-09-22 00:00
업데이트 2011-09-22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로이터 통신 “아시아 군비경쟁에 무기업체들 군침”

전 세계 군수업체들이 중국과 인접한 아시아 지역으로 몰려들고 있다.

중국의 군사력 증강에 위기감을 느낀 주변 국가들의 무기 수요가 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이유다.

로이터 통신은 20일(현지시간) ‘중국의 군사력 성장이 아시아 지역에서의 무기 판매를 부추기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중국에 인접한 아시아 국가들의 방어태세 강화가 서방 군수업체들의 새로운 타깃이 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경기 침체에 빠진 서방 각국의 국방비 삭감과 중국의 군사력 성장이 맞물리면서 동(남)아시아 지역이 군수업체들의 신흥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의 아프가니스탄 군사활동 중단 결정도 이 같은 기류를 가속화하고 있다.

미국의 록히드 마틴과 노스롭 그루먼, 영국의 BAE 시스템스, 이탈리아의 파인메카니코 등은 서방 각국의 국방비 감축에 따른 손실분을 보전하기 위해 아시아 지역을 노리는 많은 군수업체들의 일부에 불과하다고 통신은 전했다.

영국의 무역투자청 산하 국방보안본부의 애덤 토머스 대변인은 “역내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중국의 강경 움직임에 따라 많은 아시아 국가들의 국방 및 안보 지출이 가파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과 일본, 말레이시아가 인도에 버금가는 큰 시장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 지난주 영국 런던에서 열린 세계 최대 무기 박람회 ‘DSEi 2011’ 전시장에는 아시아 각국의 대표단이 몰려들었다. 통신은 참석자들의 말을 인용, 신형 스텔스 전투기 시장에 뛰어든 일본과 한국 대표단이 특히 눈길을 끌었으며, 홍콩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대표단도 협상을 벌이느라 분주하게 움직였다고 전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미국 군수회사 관계자는 “수많은 아시아 국가들의 대표단과 협상을 벌였다.”고 말했다.

프랑스의 항공방위 회사 테일리스는 아시아가 향후 수년 동안 무기 시장을 이끌 것이라고 전망했다. 테일리스의 CEO 루크 바이지나란은 “방위비 지출은 그 나라의 경제 성장과 비례한다.”면서 “아시아가 최고의 방위비 지출 지역이 될 것이며 많은 무기업체 경쟁자들이 몰려들 것”이라고 밝혔다. 제인방위산업의 수석 연구위원 가이 앤더슨은 “최근 수년 동안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군수업체들의 대대적인 마케팅 작업이 이뤄져 왔다.”고 전했다.

한편 중국의 올해 국방예산은 지난해 대비 12.7% 증가해 910억 달러를 웃돈다. 2010년 증가율은 7.5%였다. 반면 세계 최대의 무기 시장인 미국은 국방예산에서 적어도 3500만 달러를 삭감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영국은 2015년까지 국방비 8% 삭감을 계획하고 있다.

박찬구기자 ckpark@seoul.co.kr

2011-09-22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