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는 ‘터미네이터 무인정찰기’ 떠다닌다

미래에는 ‘터미네이터 무인정찰기’ 떠다닌다

입력 2011-09-21 00:00
업데이트 2011-09-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목표물 스스로 식별해 공격하는 무인정찰기 등장 예고

영화에서나 등장했던 로봇 정찰기가 하늘을 떠다니면서 적을 식별하고, 스스로의 판단으로 공격하는 일이 미래에는 현실화될 수도 있을 전망이다.

지난해 가을 미국 조지아주의 포트베닝 기지에서는 이와 관련된 1차 실험이 성공적으로 실시됐다.

당시 두 대의 무인 정찰기는 하늘을 날면서 목표물로 설정된 주황색, 녹색, 푸른색 방수포를 찾아다녔다.

일단 지휘통제소의 원격조종으로 이륙은 했지만, 이후 목표물을 찾는 과정은 인간의 도움 없이 무인 정찰기 스스로의 힘으로 진행됐다.

이륙 20분 후 한 대의 무인 정찰기가 세 목표물 중 한 목표물을 찾았다. 이 정찰기는 곧바로 인근을 비행하던 다른 무인 정찰기에 신호를 보내 자신이 찾은 목표물을 다시 확인해 보도록 했다.

이들 무인정찰기에는 목표를 찾아 식별할 수 있도록 카메라와 컴퓨터가 각각 탑재됐다. 이후 지상에 있는 무인 차량에 ‘목표물에 접근해 최종 확인하라’는 지령이 무인 정찰기로부터 하달됐다. 목표물은 정조준됐고, 실험은 성공했다.

이런 시스템을 응용할 경우 미래 전쟁에서는 무인 정찰기가 스스로 적을 식별하고, 인간의 통제 없이 미사일을 적에게 발사하는 일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현재 파키스탄, 예멘, 소말리아 등에서 운용되고 있는 무인 정찰기는 수천 마일 떨어진 미 본토에서 원격조정 시스템을 통해 사람에 의해 조종되는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다.

지난해 실험을 주도한 조지아공대의 찰스 피핀 박사는 “이런 무인정찰기 10대가 상공에 떠있다고 생각해 보라. 그리고 지상에서 무슨 일이 벌어졌는데 시간은 없다. 그럴 때 사람을 보내는 것보다 훨씬 빨리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워싱턴포스트(WP)는 20일 “로봇 전쟁 시스템의 발전은 도덕적 우려도 낳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간이 살상에 직접 개입하지 않음으로써 전쟁을 훨씬 덜 잔인한 것으로 생각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테러집단이나 적대국이 해킹을 통해 로봇 시스템에 접근, 무인 정찰기의 공격 목표를 다른 쪽으로 바꿀 가능성도 있다. 또 적대적 전투 요원과 항복하려는 적군, 무고한 민간인들을 로봇 정찰기가 제대로 구분 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과학자들은 아직 이런 무인정찰기가 언제 개발될지 확신하지는 못하고 있다. 10년, 20년이 걸릴 수도 있고, 그보다 더 많은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고 WP는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