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트레이어스 ‘CIA사령부’ 만드나

퍼트레이어스 ‘CIA사령부’ 만드나

입력 2011-04-30 00:00
업데이트 2011-04-30 0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0년 군생활… 정보국 군사조직화 관심

앞으로는 ‘할리우드 영화 007’에 나오는 정보요원의 이미지가 말쑥한 정장차림의 신사가 아닌, 군복을 입은 터프한 전사로 바뀔지도 모르겠다.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성격이 신임 국장 취임과 함께 더욱 군사조직처럼 변모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워싱턴포스트(WP)는 28일 “미국 중앙정보국 국장으로 공식 지명된 데이비드 퍼트레이어스 아프간 주둔 미군사령관은 이라크전, 아프간전 사령관에 이어 CIA 국장으로서 파키스탄에 대한 세번째 사령관직을 맡게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CIA 국장’이 아니라 ‘CIA 사령관’이라는 표현이 더 어울린다는 얘기다.

이는 40년 동안 군인으로 살면서 전쟁영웅으로 추앙받아온 퍼트레이어스의 개인적 경력에서만이 아니라 갈수록 군사조직 성향을 강화시키는 CIA 조직의 변화에서 비롯된다. 현재 CIA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예멘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전쟁이나 분쟁 현장에서 미군 특수부대와 나란히 군사작전을 펼치고 있다. 아프간 알카에다 세력의 색출과 은신처 차단을 위해 CIA가 파키스탄 접경지대에서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공습을 주도하고 있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오바마 행정부 출범 이후 파키스탄 접경지대에서만 192회의 무인항공기 공습이 이뤄졌다.

WP는 “CIA가 역사적으로 군사적 영향력이 가장 확대된 상태”라면서 “퍼트레이어스는 군사조직화된 CIA를 지휘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리언 파네타 현 CIA 국장은 취임 후 CIA의 준군사조직 성격을 적극적으로 확대시켰다. 파키스탄에서의 무인항공기 공습작전은 물론 해외 비밀기지 숫자를 늘리고, 비밀작전도 확대시켰다. 퍼트레이어스는 전형적인 군 출신인 데다 CIA가 무인항공기 공습작전을 주도하는 것을 강력 지원해 왔던 사령관이기 때문에 CIA의 군조직화는 한술 더 뜰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국 내에는 이런 CIA의 변모를 놓고 두 갈래의 목소리가 있다. 한편에서는 9·11테러 이후 해외의 테러리스트 소탕이 최우선 임무로 떠오르면서 정보기관과 군의 경계가 허물어졌기 때문에 CIA의 준군사조직화는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냉전 시절엔 민간조직처럼 보이는 게 미덕이었지만 지금은 실전 상황이라는 논리다.

반면 다른 한편에서는 정보기관은 정보기관답게 시야를 넓게 유지하면서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정치, 외교적 분석과 대응까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맞선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2011-04-30 1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