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 사용 잦을수록 이성관계 빨리 시든다?

트위터 사용 잦을수록 이성관계 빨리 시든다?

입력 2011-04-20 00:00
업데이트 2011-04-20 10: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인 트위터 사용이 잦을수록 역설적으로 이성과의 관계가 더 빨리 끝날 수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20일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 인터넷판에 따르면 이성과의 짝짓기 사이트로부터 자료를 모으는 ‘오케이트렌즈’(OKTrends) 조사에서 트위터를 더 자주 하는 사람일수록 이성관계의 지속정도가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짝짓기 사이트 이용자 83만3천987명의 이성관계 지속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에서 트위터 이용자들은 그렇지 않은 이들보다 전 연령대(18∼50세)에 걸쳐 더 빨리 상대방을 떠나갔다.

이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아마도 데이트 상대방과 더 많은 시간을 트위터로 얘기하기 때문일까?

하지만 정작 트위터 이용이 잦은 사람일수록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자기애(self-loving)에 몰두하는 시간이 두배나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다른 흥미로운 트렌드로는, 부모가 지출하든 스스로 지출하든간에 교육에 더 많은 돈을 쓰는 사람일수록 더 자주 성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은 공립대학을 다니는 학생들은 학비가 더 많이 드는 사립학교에 다니는 이들보다 성관계 횟수가 더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의 몸매에 대한 자신감과 성욕간의 상관성에 대한 풀이도 나왔다.

비교적 젊었을 때 자신의 몸매가 ‘볼륨이 있다’(curvy)고 느끼는 여성들은 ‘비쩍 마른’(skinny) 여성들보다 몸매에 신경쓰는 정도가 더 높았다.

그러나 29세가 되면 이같은 볼륨있는 몸매를 가진 여성들의 자신감이 급상승해, 깡마른 몸매를 가진 또래보다 더 높아졌다.

또 여윈(thin) 체형의 여성들이 50대까지는 다른 이들보다 더 높은 자신감을 갖지만, 성적 욕구에서는 볼륨있는 몸매의 여성들이 더 앞섰다.

남성들의 경우 체형과 성욕과는 별다른 상관관계가 보이지 않았고, 성욕이 전반적으로 매우 일관되게 유지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