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갑부 프렘지 ‘공교육 혁명의 꿈’

인도 갑부 프렘지 ‘공교육 혁명의 꿈’

입력 2011-02-21 00:00
업데이트 2011-02-21 0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억弗 기부… 교육재단 설립

인도 북부 아타라칸드 주의 공립학교인 나글라 초등학교 아이들에겐 ‘키다리 아저씨’가 있다. 백발이 성성한 한 장년 신사가 벌써 5년째 학교 교사의 재교육을 돕고 있는 것. 덕분에 교실은 ‘창의 교육의 실험실’로 변했다. 새로운 교수법을 익힌 교사들은 학생에게 무작정 교과서를 읽히고 시험지를 채우도록 하는 대신 아이들이 스스로 생각하도록 돕는다. 또 아이들은 고대 아테네의 광장에서처럼 친구들과 자유롭게 토론하고 자신만의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연습을 한다. 덕분에 시험 성적도 30% 넘게 올랐다.

아이들의 키다리 아저씨는 인도의 공룡 정보통신 기업 ‘위프로 테크놀로지’의 아짐 프렘지(66) 회장이다. 포브스가 2006년 인도 3대 부호로 꼽았던 그가 요즘 ‘교육 혁명가’를 꿈꾸고 있다고 20일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

그는 2001년부터 자신의 재산 180억 달러(약 20조원) 가운데 20억 달러를 사회에 내놓고 교육 기부 등을 위한 ‘아짐 프렘지 재단’을 세웠다. 재단의 주임무는 나글라 초등학교 등 아타라칸드 주에 있는 1500개 초등학교와 함께 초등교육 개혁을 위한 프로젝트를 벌이는 것이다. 특히 새로운 교사를 양성하고 현직 교사를 재교육해 체질개선을 돕는 데 주력한다.

사립학교를 세워 우수한 학생을 유치하면 좀 더 쉽게 ‘교육 혁명’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텐데 프렘지는 굳이 정부가 주선해준 공립학교에 지원하는 길을 고집한다. 프렘지는 이에 대해 “총명한 학생들은 어떤 시스템에서 공부하든 두각을 나타낸다. 문제는 평범하거나 가난한 아이들”이라면서 “불우한 학생은 자신감을 잃고 뚜렷한 비전 없이 넘어지는 일이 잦다.”며 보통 아이들에게 ‘투자’하는 이유를 밝혔다.

그는 조국인 인도가 경제대국으로 떠오르려면 교육투자에 전력투구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고 믿는다.

인도는 19세 이하 인구가 5억명으로 전체 인구의 45%를 차지할 만큼 젊은 국가다. 하지만 지방 초등학생의 절반가량이 자국어를 제대로 읽 못하는 등 그림자가 짙다. 전체 국민 가운데 글을 읽을 줄 아는 이는 64%로 라이벌인 중국(94%)에 현격히 뒤져 있다.

하지만 프렘지 같은 거부들이 교육에 아낌 없이 투자하며 정부를 자극한 덕분에 인도의 교육 시스템은 점점 나아지고 있다. 인도 정부는 지난해 교육 예산을 전년보다 두배가량 늘렸다.

프렘지는 이미 재산의 10% 이상을 기부했지만 아직 부족하다고 말한다. 그는 “향후 교육대학 육성에 특히 신경 쓰고 싶다.”고 밝혔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1-02-21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