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이집트 후폭풍 우려 보도 통제

中, 이집트 후폭풍 우려 보도 통제

입력 2011-02-14 00:00
업데이트 2011-02-14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이 이집트 사태 ‘후폭풍’을 우려, 이집트 시민혁명에 대해 철저하게 보도통제를 하고 있다고 홍콩의 명보가 13일 보도했다. 신문은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이 전격 사퇴한 12일 중국의 주요 언론들이 관영 신화통신이 제공하는 ‘모범답안’을 토대로 이집트가 조속히 안정을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전했다.

신화통신은 무바라크 대통령의 사퇴 소식을 짤막하게 전한 뒤 “이집트의 최근 정세가 되도록 빨리 국가안정과 정상질서 회복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는 마자오쉬(馬朝旭) 중국 외교부 대변인의 발언 내용을 크게 보도했다. 영자지 차이나데일리도 사설을 통해 “사회안정이 가장 중요한 문제”라면서 “만일 국가가 혼란에 빠지면 정치적인 변화 또한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 신랑(新浪)·왕이(網易) 등 주요 포털 사이트도 신화통신의 기사를 그대로 전하는 데 그쳤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자매지인 환구시보의 인터넷사이트 환구망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중국 언론들은 당국의 지침에 따라 이집트 사태 초기부터 신화통신 인용 외에 독자적인 취재나 보도를 하지 않고 있다. 관련 뉴스 등에 대한 댓글 달기도 사실상 금지돼 검색 사이트 바이두(百度)에서 ‘이집트 소란’ 키워드에 대한 댓글 검색을 클릭하면 ‘관련 법규에 따라 잠시 서비스를 중지한다.’는 메시지만 뜨고 있다.

중국이 이처럼 이집트 사태에 대한 보도통제에 전력투구하는 것은 비슷한 권위주의 국가로서 사회적 모순이 만연한 자국에 이번 사태가 영향을 끼칠 것을 우려하기 때문이다. 중국은 1989년 6월 톈안먼(天安門) 사태 때 민주화를 요구하는 대학생들의 시위를 탱크를 앞세워 무력진압한 아픈 과거가 있기도 하다. 하지만 일부 네티즌들은 당국의 엄격한 통제에도 불구하고 “이집트 인민들은 각성했는데 중국인들은?”이라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고 명보는 전했다. 실제 무바라크 사퇴 후 환구망에 올린 댓글에서 한 네티즌은 “이집트 인민들의 희열을 충분히 이해한다. 우린 언제 저런 희열을 느껴 보려고 했던 적이 있었나.”라며 자탄하기도 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1-02-14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