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아찌아족 1호 한글교사 아비딘씨

찌아찌아족 1호 한글교사 아비딘씨

입력 2010-07-27 00:00
업데이트 2010-07-27 07: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주(州) 바우바우시(市) 찌아찌아족 학생에게 한글과 한국어를 가르치는 아비딘(33)씨는 “한글을 가르쳐서 우리 문화를 보전할 수 있게 돼 커다란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며 지난 1년의 소회를 밝혔다.

 아비딘씨는 지난 17일 현지를 방문한 연합뉴스 기자와 가진 인터뷰에서 “1년 전까지만 해도 찌아찌아어는 문자가 없어 역사는 물론 전래동화조차 기억에서 사라져갔다.한글을 통해 비로소 이들을 복원하고 다가올 세대에게 넘겨줄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고교 영어 교사로 일하던 2008년 겨울 훈민정음학회와 바우바우시의 주선으로 서울대에서 한국어 연수를 받았으며 지난해 7월21일부터 찌아찌아족이 밀집한 소라올리오 지구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에서 한글과 한국어 교육을 하고 있다.

 다음은 아비딘씨와 일문일답.

 --한글을 가르친 지 1년이 됐다.

 △아프거나 가정사 때문에 수업에 빠졌던 몇몇 학생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학생들이 수업을 완벽하게 소화하고 있다.배우려는 열의가 워낙 뜨겁다.바우바우시의 다른 종족에서도 한글을 읽고 쓸 줄 아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정말 보람 있는 1년이었다.

 --한글이 찌아찌아족에게 어떤 도움을 주고 있나.

 △한글을 가르쳐서 우리 문화를 보전할 수 있게 돼 커다란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1년 전까지만 해도 찌아찌아어는 문자가 없어 역사는 물론 전래동화조차도 기억에서 사라져가고 있었다.한글을 통해 비로소 이들을 복원하고 다가올 세대에게 넘겨줄 수 있게 됐다.모두 한글을 한국인과 나눠 쓰게 되면서 생긴 일이다.

 학생의 학구열을 자극하는 계기도 됐다.서울시 초청을 받았던 학생들이 돌아와서 서울의 좋은 인상을 친구들에게 전하면서 학생들 사이에 한글과 한국어를 배우려는 욕구가 한층 커졌다.앞으로 한국과의 교류를 통해 바우바우시와 찌아찌아족이 발전해 나가는 계기도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올해 3월 정덕영씨가 이곳에 오게 돼 업무 부담을 많이 덜었을 것 같다.

 △큰 도움이 됐다.정씨와는 한글과 한국어 수업을 같이 준비하면서 온종일 붙어 있다시피 했다.요즘에는 한글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준비하느라 함께 있는 시간이 더 많아졌다.이제 거의 친형처럼 느껴진다.

 --한국을 다시 방문할 계획은.

 △내 한국어 실력은 아직 많이 부족하다.2년 전 서울대 어학연구소에서 한국어 교육과정 4단계 중 2단계까지 마쳤다.이른 시일 안에 한국을 다시 찾아 4단계까지 이수해 더 높은 수준의 한국어를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싶다.

 --2년 전에 향수병으로 고생했다고 들었다.

 △음식이 안 맞아서 3주 정도 밥,라면,계란만 먹고 지냈다.함께 연수를 받던 동료 교사는 너무 힘들어서 도중에 포기하고 찌아찌아로 돌아오기도 했다.이번에 가면 준비를 많이 하고 예전 경험도 살려서 잘 적응할 수 있을 것 같다.그래도 겨울에는 가기 싫다.너무 춥기 때문이다.

 바우바우<인도네시아>=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