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유아인이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했다.

3일 유아인은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1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전국을 대표하는 각 세대 시민 6명과 함께 무대에 올랐다. 유아인은 ‘71년의 다짐’이라는 주제로 제주 4·3사건에 대해 솔직한 생각을 밝혔다.

유아인은 추념식에서 “도올 선생님과 함께했던 방송에서 고백했었다. 부끄럽게도 저도 4·3을 잘 몰랐다. 어떻게 불러야 했는지도 몰랐고, 왜 우리가 몰라야 했는지도 몰랐다. 몰랐다는 사실이 부끄러웠다”고 운을 뗐다.

이어 “하지만 4·3을 접하고 조금씩 알게 되며 우리가 절대 잊으면 안 되는, 끊임없이 이야기하고 소환하고 현재로 만들어야 하는 역사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제주 4.3사건을 배경으로 한 ‘순이 삼촌’의 한 구절을 낭독했다.

유아인은 “각 도에서 제주를 생각하며 이 자리에 함께해준 분들도 그랬을 것 같다. 나도 처음엔 많이 놀랐고 분노했고 그리고 슬펐다. 어떻게 그런 일을 자행한 이들은 어떻게 멀쩡하게 살아갔는지 상상할 수 없더라”면서 “제주만의 일, 남의 일이 아니라 우리가 기억하고 느껴야 하는 역사라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유아인은 “더 알고 싶고 공부하고 싶고, 다시는 그런 역사가 반복되지 않아야 한다고 다짐하는 이들 중 청년 세대가 적지 않다. 제가 4.3을 몰라 부끄러웠고 우리의 일로 느끼고 싶었던 것처럼. 그래서 희망은 있는 것 같다”라고 덧붙였다.

유아인은 마지막으로 “4.3을 몰라 부끄럽고 더 알고 싶고 우리의 일로 느끼고 싶었던 것처럼 희망은 있는 것 같다. 70주년을 넘어 71주년이, 그리고 앞으로 남은 날들이 그러면 좋겠다. 젊은 세대가 알아가고 3세대 유족이 1세대를 이해하고 공감하며 4.3의 정신을 기억하는 내일이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유아인의 추념식 참석은 KBS1 시사교양 프로그램 ‘도올아인 오방간다“에 함께 출연하고 있는 도올 김용옥의 권유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 4.3 사건 추념일은 1948년 4월 3일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한 남로당 제주도당의 무장봉기와 미 군정의 강압이 계기가 되어 제주도에서 일어난 민중항쟁의 법정기념일이다.

사진 = 서울신문DB

연예부 seoule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