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정세가 22년 만에 영화로 상을 받았다.

제6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이 지난 17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다.

여우주연상은 영화 ‘생일’ 전도연이 수상했다. 전도연은 “제작가들께서 주신 실속있는 상을 받아 매우 기쁘다”며 “이 자리에 계신 제작가 모두에게 대본 받고 싶고 모든 제작가들이 탐내는 여배우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영화 ‘증인’으로 남우주연상을 받은 정우성은 “상은 받을 때마다 특별하다. 다른 가치와 의미를 느낀다. 점점 떨리고 익숙하지 않다. 앞으로도 익숙하고 싶지 않다”며 “좋은 영화를 만든 제작사와 이 상을 주신 협회에 감사드린다”고 했다.

영화 ‘스윙키즈’로 남우조연상을 받은 오정세는 “배우로 활동한 지가 올해 22년째”라며 “오늘 상은 영화배우로서 처음 받는 상”이라고 해 뜨거운 박수를 받았다. 이어 “꽤 오래 한 것 같은데 이 자리에선 병아리”라며 “무릎 연골과 바꾼 상”이라고 마무리했다.

고(故) 전미선은 영화 ‘나랏말싸미’로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 소속사 보아스엔터테인먼트 조성훈 본부장은 “17년을 함께 시상식을 다니곤 했는데 혼자 대리 수상을 하게 됐다”며 “좋은 곳에 잘 계실 것이라고 믿고 가족분들에게 이 상을 잘 전달하겠다”는 먹먹한 소감을 밝혔다.

봉준호 감독은 영화 ‘기생충’으로 감독상을 수상했다. 봉준호 감독은 해외에서 보내온 영상에서 “얼마 전 영평상에서 평론가분들이 주는 감독상을 받았는데 이번에는 제작가분들이 주는 감독상을 받아 상징성이 크다”며 “항상 예술영화와 상업영화 경계를 허물고 싶었는데 올해 그런 저의 노력을 많이 인정해주신 것 같아 기쁘다”고 했다.

작품상을 수상한 영화 ‘벌새’ 김보라 감독은 “해외에서는 대상을 몇 번 받았지만 국내에서 이렇게 큰 상은 처음이라 믿기지 않았다”며 “격려의 의미로 생각하고 한층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공로상 수상은 이장호 감독이 했다. 이은 회장은 “후배들에게 완벽한 영화 인생을 보여준 이장호 감독님에게 공로상을 드린다”고 했고, 이장호 감독은 “좀 애매한 면이 있다. 나이 먹은 사람에게 주는 상으로 받아들이겠다”고 겸손한 소감을 밝혔다.

사진 = 한국영화제작가협회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