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미디 ‘굿바이 싱글’서 왕년의 톱스타役 김혜수… “30년 연기 생활 대표작 없다고요? 사람들이 잘 몰라도 제겐 의미”

“배우로서 욕망을 불러일으키느냐가 중요해요. 그런데 제가 감당하기 어렵다면 하고 싶어도 포기해야 하는 거고, 조금 무리가 있지만 전체 팀의 도움을 받을 여지가 있다면 용기를 내는 거죠.”

김혜수(46)의 욕망을 불러일으킨 작품은 코미디 ‘굿바이 싱글’(29일 개봉)이다. 독립영화 ‘족구왕’으로 주목받았던 김태곤 감독의 첫 상업영화다. 김혜수는 철딱서니 없는 왕년의 톱스타 고주연을 연기했다. 자신을 버린 연하 남자 배우에게 복수하기 위해 가짜로 임신했다고 세상에 공표한다. 물론 남모르는 속사정은 따로 있다. 고주연은 코미디에 최적화한 캐릭터지만 단 한순간도 웃음을 의식하고 연기한 적은 없다고 김혜수는 설명했다.

“이전 코미디 작품을 보면 제가 워낙 부족하다 보니까 무엇인가 하려고 하면 과장이 되고, 캐릭터도 작위적으로 가더라고요. 이번 작품은 과장을 해서 웃음을 유발할 수 있는 포인트가 많았는데 (마)동석씨와 감독님을 비롯해 모두들 선을 넘지 않고 자연스럽게 수위를 잘 조절한 것 같아요.”

연기자의 길을 걸은 지 30년이다. 늘 막내였다가 어느 순간 동료가 생겼고, 어느 날 선배가 됐다. 현장에서 선배로서 느끼는 책임감이 남다를 것 같은데 그보다는 연기에 대한 책임감을 강조했다.

“영화는 공동 작업이기 때문에 제일 중요하고 불변하는 건 각자 베스트를 다해야 하는 거예요. 오래 했고 경력자이기 때문에 오는 책임감과 부담감을 떠안지는 않아요. 제 것을 제대로 못하면서 무엇을 더 할 수는 없는 거잖아요. 주인공이, 선배가 더 책임을 느끼는 모양새가 왠지 바람직하고 맞는 거 같지만 이게 제 진심이에요. 제가 약속한 걸 잘하지 못하고 분위기만 좋게 하는 게 무슨 소용 있겠어요.”

큰 굴곡이 없어 보이는 연기 인생으로 비치는데 매너리즘에 빠진 적도 있다고 이야기했다. “그런 시기는 반복적으로 있었어요. 마땅한 극복 방법을 찾지 못하고 더 나락으로 빠지지 않으려고 내버려 둔 적도 있었죠. 반드시 극복하는 게 답이 아닐 수도 있어요. 그냥 사람이니까 그런 시간도 필요한 거죠. 앞으로도 겪어 내야 하겠죠.”

앞으로 도전해 보고 싶은 역할은 무엇일까. “역대 최고 장희빈이었던 이미숙 선배님의 장희빈을 보고 자란 세대여서 그런지 배우가 된 뒤 무슨 역할을 하고 싶으냐고 질문을 받으면 장희빈이라고 했지요. 연기도 못하면서. 제가 딱히 장희빈에 부합하는 배우는 아니었는데 어찌어찌 100회를 완주하기는 했어요. 그 이후로는 특별히 정해 놓은 건 없어요. ‘펄프픽션’이나 ‘글로리아’에 나오는 그런 캐릭터에 매력을 느끼기는 해요. 배우를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하고 싶어 하겠죠.”

얼마 전 촬영을 마무리한 ‘소중한 여인’까지 서른한 편의 필모그래피를 쌓았다. ‘김혜수 특별전’을 연다면 어떤 작품을 추천하고 싶을까. “제가 임권택 감독님도 아닌데…. 일단 먼저 떠오르는 건 ‘깜보’네요. 그걸로 시작했으니까. 예전에 김혜수는 오래 했고 나쁘지 않았는데 대표작이 없다는 질문도 많이 받았어요. 그런데 대표작이 없으면 안 되나요. 사람들이 저를 많이 기억해 주고 제 연기를 칭찬하는 작품이 있기는 있죠. 그런 작품이 특별하고 의미가 있을 거예요. 그렇다고 해서 그런 작품만 제게 좋은 영향을 줬던 것은 아니에요. 사람들이 몰랐으면, 싹 감춰 버렸으면 하는 작품이라도 제겐 의미가 있어요.”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