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룡이 나르샤 이방원 ‘하여가’ VS 정몽주 ‘단심가’ 선죽교 살해 시조 원문보니

‘육룡이 나르샤 이방원 하여가, 정몽주 단심가’

‘육룡이 나르샤’에서 이방원(유아인)이 결국 정몽주(김의성)을 살해했다.

2일 방송된 SBS 월화드라마 ‘육룡이 나르샤’에서는 정몽주를 살해하기 위해 선죽교로 향하는 이방원의 모습이 그려졌다.

이방원은 정몽주를 향해 “백성들에게는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무슨 상관이겠습니까?”라며 “저 만수산 칡넝쿨이 저리 얽혀 있다 한들 그것을 탓하는 이가 어디 있단 말입니까? 포은 선생과 삼봉 스승님. 두 분이 저리 얽혀 손을 맞잡고 백성들에게 생생지락을 느끼게 해준다면 선생께서 그리 중시하는 역사에 누가 감히 하찮은 붓끝으로 선생을 욕보일 수 있단 말입니까”라며 ‘하여가’를 읇었다.

이에 정몽주는 “나를 죽이고 죽여, 일백 번을 죽여보시게. 백골이 다 썩어나가고 몸뚱아리가 다 흙이 되어 먼지가 된다 한들 이 몸 안에 있던 한 조각 충을 향한 붉은 마음은, 일편단심은 가지지 못할 것이네”라고 ‘단심가’로 답했다.

결국 이방원은 조영규(민성욱)를 시켜 정몽주를 살해했다.

드라마에서는 대사로 풀어냈지만, 역사적으로 이방원와 정몽주의 마지막 일전은 시조로 진행됐다.

이성계의 병문안을 핑계로 정몽주가 이성계의 집에 찾아오자 이방원은 정몽주에게 시를 한 수 들려주었다. 바로 그 유명한 하여가(何如歌)다.

하여가(何如歌) - 이방원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此亦何如 彼亦何如)

만수산 드렁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 (城隍堂後垣 頹落亦何如)

우리도 이같이 얽혀 백년까지 누려보세 (我輩若此爲 不死亦何如)

이에 정몽주는 ‘단심가(丹心歌)’를 지어 답했다. 이미 기울어 가고 있던 고려이지만, 끝까지 굳은 결의를 지켜 두 왕조를 섬지기 않겠다는 신념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단심가(丹心歌) - 정몽주

이몸이 죽고죽어 일백번 고쳐죽어 (此身死了死了 一百番更死了)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든없든 (白骨爲塵土 魂魄有也無)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야 있으랴 (向主一片丹心 寧有改理也歟)

결국 정몽주의 뜻을 꺾을 수 없음을 확인한 이방원은 집으로 돌아가는 정몽주를 살해하기 위해 급히 자객을 보냈고, 정몽주는 선죽교 위에서 최후를 맞이했다. 하여가와 단심가는 영조4년(1728년)에 편찬된 고시조집 ‘청구영언(靑丘永言)’에 수록돼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사진=SBS ‘육룡이 나르샤’ 캡처

연예팀 seoule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