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연구 풍토 개선 없이 노벨 과학상 없다/이레나 이화여대 방사선 종양학 교수

[열린세상] 연구 풍토 개선 없이 노벨 과학상 없다/이레나 이화여대 방사선 종양학 교수

입력 2010-10-30 00:00
업데이트 2010-10-3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본과의 노벨 과학 분야 수상자 대결 결과는 14대0이다. 2010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 3명 중 일본인이 또다시 두 명 포함됐다. 이제 일본인 노벨 과학 분야 수상자는 14명이 됐다. 일본과의 축구 경기에서 1대0으로 져도 흥분하는 우리 정서상 너무나도 아쉬운 일이다. 더구나 노벨 과학상 수상자들의 상당수가 일본 국내 연구환경에서 육성된 과학자라는 사실이 부럽다. 과학 분야의 노벨상 수상은 개인의 기초과학연구 능력에 대한 우수성과 명예 그 이상의 의미가 있다. 수상자에게는 최고의 자부심과 영예가 주어진다. 노벨상을 배출하면 국가적 자부심과 민족적 우월감까지 느끼게 된다.

이미지 확대
이레나 이화여대 방사선종양학 교수
이레나 이화여대 방사선종양학 교수
노벨 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하려면 선결 과제가 있다. 먼저 연구결과에 대한 관용적 기다림이 허용되는 풍토가 필요함을 강조코자 한다. 과학 분야의 연구결과가 성과를 이루려면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연구를 시작해 저널에 제출할 만한 연구결과를 얻으려면 1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고 국외 저널에 논문을 제출, 평가 후 게재되기 위해서는 또다시 최소 6개월이 소요된다. 양질의 논문을 국외 유명한 저널에 발표하려면 적어도 1년 이상이 필요하다.

그런데 국내 연구성과는 연구시작 일로부터 1년에 양질의 논문을 몇 편 게재했는지, 특허를 몇 개 출원했는지를 평가한다. 이런 풍토에서 연구자들은 어쩔 수 없이 질보다는 양적인 면에 치중하게 되고 무리수를 두게 되어 표절과 같이 연구윤리에 어긋나는 일들을 행하게 된다. 연구에 집중하기보다는 보고서용 연구결과 만들기 및 연구보고서 작성에 많은 노력을 하게 된다. 젊은 연구자인 대학원생들 또한 연구수행 능력보다는 보고서 작성 능력을 배우게 된다. 이를 개선하려면 정부는 연구개발 체계를 재정립해 연구기간 및 연구결과에 대한 평가기간을 연장해야 한다.

다음으로 젊은 연구자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주어야 한다. 첫 발견 또는 첫 발명의 여부가 노벨상 선정에서 가장 주된 기준이다. 이러한 첫 발견 또는 발명은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많이 낼 수 있는 젊은 과학자에 의해 가능해진다. 노벨상 수상자의 대부분이 30~40대에 수행한 연구결과의 업적으로 수상한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는 사실이다. 우리나라는 젊은 연구자에게 연구기회를 제대로 제공하는가? 나의 경우 과거 10년 동안 연구계획서를 1년에 세 번 이상 작성해 제출했으나 연구비를 거의 받지 못했다. 연구비 선정 기준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논문 편수이고 연구를 막 시작한 젊은 연구자로서 논문 편수 평가에서 많이 밀리기 때문이다. 심각한 좌절과 고통을 맛보았으며 연구를 그만두고 편하게 강의만 하면서 살아야겠다는 생각도 했다. 10년이 지난 지금 중견 연구자로 논문을 다수 작성했으나, 수상하는 데 중요한 기준인 창의적인 발견 또는 발명을 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마지막으로 저명한 원로 과학자들도 꾸준히 연구에 전념하는 풍토가 필요하다. 미국에서는 60세가 넘는 교수들이 연구실에서 직접 실험을 하고 자료를 얻으며 밤늦게까지 실험실에서 연구에 몰두한다. 젊은 연구자들에게 본보기가 되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낼 수 있도록 지도하는 원동력이 된다.

그러나 국내는 유명한 연구자들의 대부분이 일정한 나이가 되면 센터장과 같은 연구행정 직책을 맡게 되고 연구는 거의 못하는 실정이다. 물론 연구 관리자가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노벨상을 배출하려면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연구자들이 일정한 연령이 되더라도 연구행정보다는 연구 수행을 할 수 있는 분위기가 만들어져야 한다.

14대0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려면 연구자들이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연구 체제를 개선하고 성공에 대한 기다림, 실패에 대한 관용 등 총체적 연구풍토 개선이 필요하다. 사회적으로는 과학자 우대 분위기 조성 등 과학계에 대한 적극적인 외부의 지원이 있어야 한다. 월드컵 때와 같은 국민적 응원을 과학자들에게 보내 주기를 부탁해 본다.
2010-10-30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