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제노베스의 죽음/부경희 광운대 미디어영상학부 교수

[열린세상] 제노베스의 죽음/부경희 광운대 미디어영상학부 교수

입력 2010-10-09 00:00
업데이트 2010-10-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뉴욕 맨해튼에서 20대 여성 제노베스가 퇴근길에 강도에게 무참하게 살해당합니다. 살려달라고 30분 넘게 외쳤지만 지켜보던 많은 사람들은 그녀가 수십 번 찔려 결국 죽음에 이를 때까지 누구도 나서서 돕지 않습니다. 대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단순 살인사건이었지만, 뉴욕 타임스를 비롯한 많은 언론은 미국의 윤리가 땅에 떨어졌다고 탄식했습니다.

이미지 확대
부경희 광운대 미디어영상학 교수
부경희 광운대 미디어영상학 교수
심리학자들의 생각은 좀 달랐습니다. 일련의 실험을 통해 제노베스 사건은 윤리가 아닌 책임 분산의 문제였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실험자가 갑자기 심한 복통을 호소할 때 피험자 대다수는 머뭇거림 없이 긴급전화를 걸거나 아픈 실험자를 부축해주는 등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었습니다. 그러나 참가자가 두 명, 네 명으로 늘어나자 서로의 눈치를 보며 머뭇거리는 시간은 비례해서 길어졌고, 8명이 되었을 때 그들은 꽤 오랫동안 어떤 행동도 하지 않고 서로 쳐다만 보며 난감해하였다는 것입니다. 인간의 동조(conformity)심리 때문입니다. 방법을 모르거나 당황했을 때 인간은 독자적인 생각·행동을 억제하고, 다른 사람들의 반응과 행동에서 단서를 찾아 동조하려는 본능적 생존전략을 보입니다. 그러는 동안 책임은 다수의 침묵으로 이어져 분산되고 마는 것이지요.

얼마 전 10대 여학생과 60대 할머니의 지하철 난투극 동영상이 인터넷에서 논란이 되었습니다. 다리를 꼬고 앉아 있던 여학생을 지나치게 야단친 할머니, 기분 나쁘다고 어른에게 ‘너’라는 반말과 ‘X나게’ 같은 비속어를 거리낌 없이 쓰는 예의 없는 젊은이와 그 난투극을 찍어 올린 무심한 주변인, 끝까지 말리지 않은 구경꾼 모두가 요즘 제기되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담고 있는 건 사실입니다. 입시제도로 인한 윤리교육의 부재(여학생), 세대 간 소통단절(할머니), 사이버시대의 프라이버시 경시(동영상 탑재인), 그리고 글로벌화로 인한 개인주의적 성향증가(구경꾼) 등이 이 사건의 공범으로 거론되었습니다.

그러나 정말 이번 사건을 다양한 사회문제가 불거진 결과로만 봐야 할까요? 제노베스의 죽음이 분명 강도와 살인이라는 대도시의 문제를 안고 있었음에도 실제 그녀를 죽음에까지 이르게 한 건 어이없게도 구경꾼들의 무지한 동조심리와 책임분산이었던 것처럼, 이번 ‘지하철 난투극’도 동조심리와 책임분산이 작용하지 않았을까요? 만약 제노베스가 구경꾼 중 한 사람에게 ‘저 좀 도와주세요.’라고 말했다면, 긴급전화 같은 그의 작은 행동을 이끌어 냈을 것이고 그것이 다른 구경꾼들을 동조하게 하여 집단적 도움을 얻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심리학자들은 말합니다. 평소의 윤리의식도 중요하지만, 일이 발생했을 때 그것을 해결하는 집단지성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놀라운 것은 그 집단지성이 의외로 아주 작은 기술로부터 시작된다는 점입니다. 기본적인 동정심, 선한 동조를 불러일으키는 것, 그런 것들이 우리 사회를 개선시키는 집단지성이라는 것입니다. 실제로 지하철 선로에 끼인 사람을 살리기 위해 주변에 있던 사람들이 힘을 합쳐 차체를 밀었던 아름다운 일은, ‘우리 같이 한번 밀어봅시다!’라고 외쳤던 단 한 사람의 기지로 시작되었습니다. 순간적으로 모든 사람의 긍정적 동조행동을 이끌어낸 그의 작은 시작 때문이었습니다. 눈치보고 침묵하던 다른 사람들에게 함께 할 행동의 기준을 보여주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우리 사회는 점점 더 많은 문제를 안고 가게 됩니다. 인터넷의 정보 과다가 그 현상을 더 가속화시키고 있습니다. 책임이 분산되어 누구도 어떤 일에 책임지지 않는가 하면, 오히려 작은 움직임에 쉽게 동조하는 정도가 더 심해지고 있습니다. 다행히 우리는 군중의 동조가 아주 작은 움직임에서 시작하며, 그 작은 움직임이 동조를, 그 집단동조가 긍정적 행동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압니다. 언성이 높아졌을 때 누군가가 바로 나서서 지하철의 그 두 사람을 다독거렸더라면 난투극에다 동영상까지, 그래서 어른집단과 청소년집단으로 나누어 싸우는 세대갈등으로까지 커지지는 않았겠지요. 집단지성, 이제 우리 사회가 훈련받아야 할 주제 아닐까요?
2010-10-09 2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