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모노드라마/이동구 수석논설위원

[씨줄날줄] 모노드라마/이동구 수석논설위원

이동구 기자
입력 2020-07-29 17:42
업데이트 2020-07-30 04: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70~80년대 ‘모노드라마’(monodrama)가 꽤 대중의 관심을 모았다. 한 명의 배우가 무대에서 독백과 연기력으로 모두 풀어 나가는 형식의 연극이다. 가장 유명했던 배우로 고(故) 추성웅씨가 꼽힌다. 조금은 이색적이고 희극적인 분위기의 추씨는 ‘빨간 피터의 고백’이란 1인극으로 유명했다. 밀림에서 인간에게 잡혀 서커스단의 어릿광대가 된 원숭이 피터가 스타가 된 후 학술원 회원 앞에서 자신이 인간 세상의 일원으로 살아가고 있다는 착각의 과정을 1인극으로 소화해 냈다. 원작인 프란츠 카프카의 소설 ‘어느 학술원에 드리는 보고’를 각색한 것이라고 한다.

비슷한 시기 대중 연예계에서는 ‘원맨쇼’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TV뿐 아니라 극장가나 밤무대 등에서 입담 좋은 희극 배우 혼자서 청중을 들었다 놨다 했다. 고인이 된 백남봉, 남보원씨 등이 대표적인 인물로 꼽힌다. 이들은 별다른 도구도 없이 오직 입으로 기차 소리, 기관총 소리 등 각종 성대모사로 대중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무거운 주제가 아닌 서민 삶의 희로애락을 쥐락펴락하면서 대중들로부터 큰 사랑을 받았다.

디지털 세상의 도래는 우리의 일상적인 생활방식 또한 급속도로 바꿔 놨다. 온 가족이 아침신문을 돌려 보는 풍경은 보기가 어렵게 됐고, 극장에 쇼를 즐기러 가지도 않는다. 대신 각종 SNS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고, 게임을 즐기며 그들만의 세상을 꾸려 나가고 있다. 음악, 뉴스, 영화, 드라마 할 것 없이 웬만한 건 모두 다 스마트폰으로 혼자서 해결한다. 1인 미디어, 1인 기업, 1인 가구 시대다. 방송도 혼자 하고, 타인과의 정보를 주고받는 것도 혼자서 해결할 수 있다. 사업도 혼자 하길 좋아한다. 술이나 밥도 혼자서 먹으니 ‘혼술’, ‘혼밥’이 대세다. 소위 ‘밀레니얼 세대’ 풍속도의 하나다.

우리 사회의 주축은 밀레니얼 세대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1990~2000년대 초반에 출생한 이들은 정보기술(IT)에 능통하고 학력이 높다. 반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사회에 진출했지만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그리 순탄치 못하다. 사회 초년병 시절엔 대학 학자금 대출을 갚아야 했고, 고용 위기의 그림자가 지금도 따라 붙고 있다. 소득이 낮고 일자리가 불안하니 결혼도 미루고 내 집 마련의 꿈은 요원하게만 느껴진다. 30~40대는 서울서는 내 집 마련은 고사하고 손바닥만 한 전월세방 한 칸 마련도 어렵다고 호소한다.

요즘 불안정한 부동산 시장의 원인과 해법을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정치인, 시민단체 할 것 없이 한마디씩 내뱉으니 자칫 배가 산으로 가지 않을까 걱정이다. 개중에는 모노드라마나 원맨쇼 같은 발언들도 있어 유감이다.

yidonggu@seoul.co.kr
2020-07-30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