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실검 전쟁/장세훈 논설위원

[씨줄날줄] 실검 전쟁/장세훈 논설위원

장세훈 기자
입력 2019-08-30 00:56
업데이트 2019-08-30 03: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요 포털사이트의 ‘실시간 검색어’(실검)가 연일 화제다.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를 향한 양 갈래 여론이 실검을 통해 표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7일 오후 네이버와 다음 등 주요 포털사이트 실검 순위엔 ‘조국 힘내세요’가 1위에 올랐다. 이튿날인 28일 ‘가짜뉴스아웃’에 이어 29일에는 ‘한국언론사망’, ‘정치검찰아웃’ 등이 실검 순위 상위권을 차지했다. 조 후보자 지지세력이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해 특정 시간에 해당 문구를 검색창에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전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에 맞서 ‘조국 사퇴하세요’도 실검 순위 상위권에 등장했다. 조 후보자에 대한 지지·반대 세력 간 ‘댓글 대결’이 ‘실검 경쟁’으로까지 번진 양상이다.

실검은 지금 현시점에서 불특정 다수가 관심을 갖는 주제를 보여 주는 포털 서비스다. 우리 사회의 ‘핫이슈’를 알 수 있는 바로미터인 셈이다. 하지만 서비스 이용자의 이해가 얽히다 보니 잡음도 끊이지 않는다.

올해 초에는 상업적 목적의 실검 키워드 조작 논란도 불거졌다. ‘실검 마케팅’이다. 위메프와 티몬, 쿠팡, SSG 등 이커머스 기업을 중심으로 자사 이벤트와 포털 검색을 연계한 마케팅 경쟁을 벌였다. ‘검색창에서 ○○을 검색하세요’와 같은 광고 문구를 올리면 소비자들의 검색량 급증으로 실검 순위가 상승하고, 해당 검색어와 관련된 기사나 게시물이 폭증하는 식이다. 네이버가 지난 4월 모바일 홈페이지 첫 화면을 개편하면서 뉴스와 함께 실검을 뺀 것도 이를 감안한 것으로 해석됐다.

그럼에도 실검 키워드가 각종 기업의 광고로 도배되는 현상은 오히려 강화되는 추세다. 매출 증가를 원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온라인 입소문 효과를 노린 것이다. 하지만 이벤트를 미끼로 한 여론 조작이라는 비판도 만만찮다. 특정 연예인의 이름을 실검 순위 상위권에 올리려는 어긋난 팬심을 현 상황과 비교하면 ‘애교’에 가깝다.

포털 측은 그러나 “매크로(명령어를 자동으로 반복 검색하는 기능) 등 기계 조작이 아닌 개개인이 직접 입력하는 검색어는 차단할 수 없다”고 한다. 실검 순위를 사후적으로 조정하지 않는다는 원칙도 유지하고 있다. 정치적, 상업적 의도 등을 갖고 실검에 특정 주제를 인위적으로 부각시키려는 사례를 제지할 수단이 현재로선 마땅하지 않다. 실검 경쟁이나 실검 마케팅은 이용자·소비자 중심의 가치에 어긋날 뿐만 아니라 건전한 여론 형성에도 장애물이 될 수 있다. 챙길 수 있는 이익보다 감수해야 할 피해가 훨씬 더 크다. 시민들이 앞장서서 여론을 특정한 방향으로 이끌어 나가려는 시도를 포털들과 함께 지양해야 하는 이유다.

shjang@seoul.co.kr
2019-08-30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