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상선약수/주병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상선약수/주병철 논설위원

주병철 기자
입력 2015-08-09 18:02
업데이트 2015-08-10 00: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물이 인간에게 귀중하고 고마운 존재로 인식된 것은 기원전부터라는 건 잘 알려져 있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탈레스는 “물이 만물의 근원”이라고 했고, 아리스토텔레스는 “만물의 근원은 땅, 물, 공기, 불”이라고 했다. 사람이 물 없이 살아갈 수 없는 건 제쳐 두더라도 몸의 60~70%가 물인데 무슨 말을 또 할 수 있을까.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물 예찬론’에 인색하지 않은 것도 이런 연유에서다.

순자의 유좌 편에는 ‘물의 덕성’을 일깨우는 대목이 나온다. 공자가 동쪽으로 흐르고 있는 물을 바라보고 있는데, 자공이 공자에게 물었다. “군자가 큰 강물을 보면 반드시 관찰해야 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공자가 이내 대답했다. “모든 생물과 함께 하면서 하는 일이 없는 것, 이것은 덕(德)과 같은 것이다. 그 흐름이 낮은 곳으로 흐르고 모나거나 굽은 것에는 반드시 그 이치를 따르는 것, 그것은 의(義)와 같다. …구덩이에 물을 받아도 반드시 평평한 것은 법(法)과 같다. 수만 번 굽혀도 반드시 동쪽으로 가는 것, 이건 의지(意志)와 같다. 그래서 군자는 큰 강물을 보면 반드시 관찰하는 것이다”.

논어(語) 옹야 편에도 비슷한 구절이 있다. “지혜로운 자는 물을 좋아하고 어진 자는 산을 좋아한다. 지혜로운 자는 움직이고, 어진 자는 고요하다. 지혜로운 자는 즐기고, 어진 자는 오래 산다.” 조선시대 고산 윤선도는 유배지인 전남 해남에 은거할 무렵 지었다는 ‘오우가’(五友歌)에서 “물이 가장 으뜸가는 벗”이라고 했다. “내 벗이 몇인고 하니 수석(水石)과 송죽(松竹)이라. 동산에 달 오르니 긔 더욱 반갑구나…좋고도 그칠 뉘 없기는 물뿐인가 하노라”.

물 예찬 시인도 적지 않다. 도종환은 ‘멀리 가는 물’에서 “…그러나 다시 제 모습으로 돌아오는 물을 보라…제 얼굴 제 마음을 잃지 않으며 멀리 가는 물이 있지 않은가”라며 물의 아름다운 본성을 노래한다. 임의진의 ‘마중물’, 김영랑의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등도 물의 고마움과 변함없음을 전한다 . 사실 우리에게 물은 자연의 혜택과 이치를 넘어 문화 그 자체다. 물은 선비다운 기품, 유유자적한 관조, 청아한 지조 등 유교사상과 맞닿아 있고, 생명력과 풍요의 원리, 정화력으로 여겨지며 민속신앙으로까지 뿌리내려 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엊그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생일을 맞아 ‘상선약수’(上善若水) 휘호를 선물했다고 한다. 노자 도덕경의 구절로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는 의미다. ‘물은 세상의 만물을 다 이롭게 하는 훌륭한 일을 하면서도 그 누구와도 다투거나 경쟁하는 법이 없으며 모든 이가 싫어하는 자리로 흘러간다’는 구절이 이어진다. 복잡한 국제 정치와 국내 상황을 물의 이치처럼 슬기롭게 헤쳐나가길 바란다는 뜻일 게다. 상선약수의 지혜를 정작 본받고 새겨들어야 할 대상은 우리나라 지도자들이 아닌가 싶다.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2015-08-10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