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면역력(免疫力)/오일만 논설위원

[길섶에서] 면역력(免疫力)/오일만 논설위원

오일만 기자
오일만 기자
입력 2020-03-12 23:38
업데이트 2020-03-13 04: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감염증이 극성을 부리는 요즘, 길거리 약국마다 마스크를 사려는 사람들로 장사진이다. 확진자들이 쉴 새 없이 늘고 안타까운 사망 소식도 곳곳에서 들린다.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누군가의 기침 한번에 마음이 졸아든다. 전염병은 유인원 시절부터 인류와 함께한 역사가 있다. 종(種) 자체를 멸종 위기로 몰아넣을 만큼 치명적이었다. 인류도 700만년에 이르는 진화 과정에서 자연스레 인체내 면역력을 키우는 방식으로 생존을 도모했다. 면역(免疫)을 한자로 풀이하면 ‘역병(疫), 즉 전염병을 면한다(免)’는 뜻이다. 바이러스 같은 외부 인자의 침입에 대항해 우리 몸을 지켜주는 방어 체계다. 면역력은 생명의 최전선 방어부대이자 최후의 보루인 것이다.

실내에 갇힌 생활에 익숙해져 이 ‘최후의 보루’에 관심이 많아졌다. 세계적인 면역학자 아보 도오루는 “체온이 1℃ 떨어지면 면역력은 30% 이상 떨어지며 온갖 병에 걸리기 쉽다”고 했다. 체온을 올리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운동이다. 적당한 운동은 심폐 기능, 근력을 증가시켜 면역 기능을 키운다. 반면 과도한 공포심은 나쁜 호르몬(아드레날린)을 분비해 면역체계를 약화시킨다. 면역력이란 ‘갑옷’을 더 튼튼하게 만들어 사악한 바이러스들이 제풀에 사그라지게 하면 어떨까.

oilman@seoul.co.kr
2020-03-13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