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망춘(望春)/박홍환 논설위원

[길섶에서] 망춘(望春)/박홍환 논설위원

박홍환 기자
입력 2020-03-01 22:16
업데이트 2020-03-02 00: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과 비가 내려 싹이 튼다는 우수를 지나 시간은 개구리가 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을 향해 가고 있다.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오듯이 겨울이 가면 봄이 오기 마련이다. 자연의 섭리는 그런 것이다. 매섭지 않았던 겨울이었지만 새벽 첫 공기를 들이켜며 겨울을 실감했듯이 한낮의 온화한 햇살을 받으며 봄이 가깝게 왔음을 한껏 느끼는 요즘이다. 몸은 또 그렇게 계절의 변화에 적응할 것이다.

봄을 기다리는 이유는 단언컨대 겨울이 있어서다. 생명을 거부하는 겨울의 혹독한 시련은 가열차게 봄을 그리워하게 만든다. 눈밭을 뚫고 수줍게 올라오는 노란 복수초가 기특한 까닭은 시련을 극복한 희망의 표지이기 때문이다. 개나리는 봄을 기다린다는 뜻의 망춘(望春)으로도 불린다. 아지랑이 피어나는 언덕길의 샛노란 개나리꽃 군락은 흡사 겨울을 물리쳤음을 자축하는 군무와도 같다.

코로나19로 나라가 꽁꽁 얼어붙었다. 겨울이 지나가지만 사람들은 온몸을 꼭꼭 싸맨 채 움츠리고 있다. 하지만 단연코 봄은 올 것이다. 혹독한 시련을 이겨 내고 꽃을 피우는 복수초나 망춘처럼 코로나19를 물리치고 따뜻한 햇살을 만끽할 봄날은 반드시 오고야 만다. 그러자면 묵묵히 뿌리의 내력을 키워야 한다.

stinger@seoul.co.kr

2020-03-02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