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비대칭 공포/박홍환 논설위원

[길섶에서] 비대칭 공포/박홍환 논설위원

박홍환 기자
입력 2020-02-13 17:26
업데이트 2020-02-14 03: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체는 코밑 인중의 가운데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의 구조를 갖고 있다. 실제로는 척추선이 기준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동물, 하물며 곤충까지도 좌우 대칭이다. 혹스(HOX) 유전자 때문에 이런 경이로운 구조가 만들어졌다는데, 이 유전자는 6억년 전 인류와 동물의 옛 공통 조상들에게도 존재했다고 하니 놀랍기 그지없다. 대칭 구조가 익숙하고 안정적인 것도 그래서인가 보다.

며칠 전 자고 일어나 두 눈을 비비며 거울을 보는데 생면부지(?)의 중년 남자가 떡하니 서 있다. 오른쪽 볼만 기괴하게 부어 오른 ‘짝볼 사내’는 어색하다 못해 공포스럽기까지 했다. 난치병인가 싶어 서둘러 병원을 찾았다. 피로 누적으로 오른쪽 볼 피부 안쪽에 염증이 생겨 그렇다고 해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지만 개운하지는 않았다. 마스크로 비대칭 구조를 감출 수밖에 없었다.

만화영화 ‘마징가Z’의 아수라 백작은 좌우 다른 얼굴을 하고 있는 악(惡)의 화신이다. 헬 박사가 남녀 시신을 합쳐서 만들어 냈다. 유전과학자들에 따르면 혹스 유전자에 변이가 생길 경우 대칭 구조가 깨질 수 있다고 한다. 영화 ‘기생충’은 극단적인 비대칭 구조를 묘사하고 있다. 공포스럽기까지 한 이런 심각한 빈부격차를 만들어 낸 것은 과연 누구일까.

stinger@seoul.co.kr

2020-02-14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