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마음먹기 나름/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마음먹기 나름/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9-08-20 17:18
업데이트 2019-08-21 02: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절집에서 하룻밤 잤더니 밤새 귀가 호사를 했다. 계곡 물소리에 묵은 귓바퀴가 씻겼다. 많도 적도 않게 내린 비에 계곡물이 알맞게 불어 물소리는 담담하고. 때맞춰 잘 왔다는 스님 덕담을 듣고서 간밤에는 맑은 잠을 청했다.

산방에는 있는 것보다 없는 것들 천지다. 단출한 물건들은 요긴한 대접을 받는다. 달랑 한 권 꽂힌 책은 한 줄 한 줄 아껴서 읽게 되고, 미지근해서 줘도 안 먹었을 물 한 통은 사막에서처럼 달고.

스님 고무신을 따라 발소리 말소리 없이 뒷마당을 걷는다. 좁은 공간이 무슨 포행 길이 되려나, 괜한 걱정을 했다. 이 끝에서 저 끝으로 다시 이 끝으로. 걸음을 쪼개 잠자코 걸었더니 작은 마당은 실컷 걷고도 남았다. 구비구비 산길을 욕심내지 않아도 되는 거였다.

무릎이 부딪치는 작고 누추한 방에서라도 몸만 돌려 앉으면 동서남북이 바뀐다 했지. 생각을 바꾸면 보이는 것들의 명암이 달라진다고, 없던 창문이 열린다면서. 조선 후기 문장가 이용휴의 ‘살구나무 아래 집’(杏嶠幽居記)에서 읽었던 오래된 글이다.

남들 다 아는 이치를 겨우 생각하고서 나는 혼자 득의만만. 하늘에 뜬 저것은 해인지 낮달인지. 마음 놓고 졸음에 잠겨 보는 늦여름 산사의 아득한 오후.

sjh@seoul.co.kr

2019-08-21 3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