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명징과 직조/이두걸 논설위원

[길섶에서] 명징과 직조/이두걸 논설위원

이두걸 기자
이두걸 기자
입력 2019-06-11 17:30
업데이트 2019-06-12 03: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 초부터 갓 중학교에 진학한 큰아들의 독후감 숙제를 봐 주곤 했다. 명색이 글로 밥 먹고 사는 처지인데다 학원 순례에 힘겨워하는 아들의 부담을 조금이나마 줄여주고 싶어서였다. 그러나 얼마 전부터 작문 수업을 그만 뒀다. 알량한 글쓰기 기술을 습득할 시간에 다양한 지식을 자유롭게 접하고 사고하는 게 아들에게 더 소중할 거라고 여겼기 때문이었다.

‘번역은 반역’이라고 한다. 그러나 반역은 글쓰기의 숙명이라고 느낀다. 글을 통해 전달하려는 내용은 글이라는 그릇에 담기는 순간 일정 정도의 왜곡이 불가피하다. 글쟁이는 패배할 수밖에 없는 싸움을 반복하는 고독한 전사에 가깝다. 그럼에도 우리는 어떤 식으로든 글을 읽고 때로는 글을 쓴다.

대중을 향한 글은 최대한 쉽게 쓰여지는 게 좋다. 그러나 쉬운 글이 늘 바람직하진 않다. 왜곡의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쉬운 글만을 강요하는 건, 국을 컵으로만 먹기를 요구하는 것과 다름 아니다. 요즘 ‘명징’과 ‘직조’라는 표현을 두고 뒷말이 많다. 영화 ‘기생충’에 대한 비평에 쓰이고 나서부터다. 그러나 비난의 대상은 크게 어렵지 않은 한자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무지와, 그 무지를 부끄러워하지 않는 몰염치가 아닐까. 우리를 자유케 하는 건 무지가 아닌 더 많은 진리다.

2019-06-12 33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