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시인의 아내/이두걸 논설위원

[길섶에서] 시인의 아내/이두걸 논설위원

이두걸 기자
이두걸 기자
입력 2019-04-28 22:30
업데이트 2019-04-29 01: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십수년 간 변하지 않는 생활필수품 중 하나는 유모차다. 2년 전 늦둥이 둘째가 태어난 뒤 새로 장만한 유모차는, 11년 전 첫째가 쓰던 것보다 안정적이면서도 가볍게 진화했다. ‘유모차 운행환경’도 개선됐다. 엘리베이터는 크게 늘고 노상 흡연자는 확연히 줄었다.

이러한 변화를 절감하는 건, 예나 지금이나 아내 대신 내가 주로 유모차를 밀기 때문일 것이다. 아이와 유모차의 무게를 지탱하는 데에는 남성이 유리하면서도 효율적이기 마련이다. 그러나 얼마 전 유모차의 한자(乳母車)에 ‘어미 모(母)’ 자가 들어간다는 걸 발견하고 깜짝 놀랐다. 육아의 주된 주체가 어머니라는 뜻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저출산’(低出産)도 비슷한 사례다. ‘낳을 산(産)’자가 포함되면서 저출산의 책임이 여성에게만 있다는 뜻으로 보여질 수 있다. 유모차 대신 ‘유아차’(乳兒車), 저출산 대신 ‘저출생’(低出生)으로 바꿔 쓰는 게 적절하다고 한다.

얼마 전 한 국내 언론이 고민정 청와대 신임 대변인을 ‘시인의 아내’라고 수식하자 외신기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된 모양이다. 한 기자는 SNS에 ‘지금은 21세기’라는 비판도 올렸다. 이른바 ‘태생적 한계’를 뛰어넘는 건 무척 어렵다는 걸, 다시 절감한다.

douzirl@seoul.co.kr

2019-04-29 29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