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낙화/손성진 논설고문

[길섶에서] 낙화/손성진 논설고문

손성진 기자
입력 2019-04-18 22:00
업데이트 2019-04-19 02: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지랑이 피어오르는 간지러운 봄볕 속에 춘설(春雪)이 뿌리나 했더니 떨어지는 벚꽃잎이다. 바람이 거세질수록 꽃잎은 하염없이 날리고 또 날린다. 반 보름도 못 견디고 속절없이 스러지는 벚꽃잎이 야속하기만 하다.

어느 시인은 “꽃을 자루째 털린 산벚나무가 하루 사이 폭삭 늙어 있다”고 읊었다. 묵묵하기만 한 나무는 꽃잎을 바람에게 도둑맞는 줄도 모르는 것일까.

우리나 시인이나 나무의 마음을 혜량하는데 부족했다. 나무는 낙엽을 안타까워할지언정 낙화는 서러워하지 않는다. 새로운 생명을 잉태함에 꽃잎은 제 할 일을 다했고 알을 낳은 연어처럼 떨어진다. 꽃잎이 떨어진 자리에는 열매가 맺히고 신록이 무성할 것이다.

낙화는 이별과 죽음이 아니라 새로운 만남과 탄생을 의미한다. 나무는 꽃잎을 잃었지만 싱싱하고 푸릇푸릇한 이파리로 단장했고 더 화사해졌다. 그래서 낙화는 슬프지 않고 아름답다.

꽃잎은 땅에 떨어지기 전에 먼저 심장 속에 박혔다. 떨어진 꽃잎을 밟는 것은 심장을 할퀴듯 아프고 조심스럽다.

꽃잎은 안절부절못하는 인간의 발길에 기꺼이 몸뚱이를 내어준다. 잠시 사뿐 밟아도 좋다. 꽃잎의 영혼은 가슴속에 고이 묻어두었기에.
2019-04-19 29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