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자장냉면/서동철 논설위원

[길섶에서] 자장냉면/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6-12-11 22:34
업데이트 2016-12-12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냉면이 문헌에 나타난 첫 사례는 ‘조선 중기 4대 문장가’의 한 사람이라는 계곡 장유(1587~1638)의 한시 ‘자장냉면’(紫漿?)이라고 한다. 최근 우연히 이 한시를 읽었다. ‘붉은 국물’을 뜻하는 ‘자장’이라는 표현 때문에 오늘날의 냉면과는 다른 오미자 육수라는 주장도 들은 적이 있다. 그런데 시를 읽어 보니 내 생각은 달랐다.

오해를 부른 대목은 ‘자장하색영 옥분설화균’(紫漿霞色映 玉粉雪花勻)이다. 그런데 아무리 읽어봐도 ‘육수는 노을에 비쳐 붉은빛 영롱하고, 눈꽃처럼 하얀 사리는 가지런히 담겼다’쯤으로 해석하는 게 옳은 것 같다. 국수 면(麵)자 대신 밀가루 면(?)자를 쓴 이유는 궁금했다. 힌트는 다음 구절에 있었다.

‘한 젓가락 먹으니 향기가 살아나는데, 옷을 껴입어도 찬 기운은 몸을 뚫는다’(入箸香生齒 添衣徹身)는 대목은 겨울 음식인 냉면의 특징을 너무나도 생생하게 표현했다. 입안에서 향기가 살아났다면 밀가루보다는 메밀이었을 게다. 이빨을 덜덜 떨면서 먹는 냉면에 ‘여름의 보물’이라는 오미자 육수를 쓸 이유는 없다. 17세기 문인(文人)과 똑같은 음식을 먹으며 즐거움을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이 반갑고 신기하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6-12-12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