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엘리베이터 안 풍경/임창용 논설위원

[길섶에서] 엘리베이터 안 풍경/임창용 논설위원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16-12-06 23:10
업데이트 2016-12-07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출근할 때다. 아파트 엘리베이터에 탔는데 한두 번 본 듯한 30대 여성이 “안녕하셨어요?” 하고 인사를 건넨다. 순간 당황해 “아, 네~” 하고 인사를 받는 둥 마는 둥 하고 말았다. 한데 여성의 아들인 듯한 네댓 살배기 아이까지 “안녕하세요” 하고 고개를 꾸벅 숙이는 게 아닌가. 그제야 제대로 답례를 했다. “참 씩씩하네. 인사도 잘하고.”

집 엘리베이터를 타면 어색할 때가 많다. 누군가 함께 있을 때 그렇다. 분명히 우리 집 라인의 주민인 듯한데 먼저 아는 척하기가 쉽지 않다. 나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사람이 휴대전화나 게시물에 시선을 두고 있다. 그러다 문이 열리면 쌩하고 제 갈 길을 간다. 마치 긴 시간을 견디기 어려웠다는 듯이.

아파트살이 25년째지만, 이런 풍경은 달라지지 않은 것 같다. 그 모자(母子)와의 조우 같은 흐뭇한 정경은 행운으로 여겨질 정도로 드물다. 이웃사촌이라는데, 십수년 한 건물에 살면서도 그렇게 데면데면할 수가 없다. 그러니 윗집 아이가 뛰어논다고 올라가 주먹다짐하는 사람까지 생기는 게 아닐까. 엘리베이터에서 인사만 반갑게 나눠도 층간소음 다툼이 크게 줄 것 같다. 오늘 먼저 인사하는 용기를 내 볼까.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2016-12-07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