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이런 조의(弔意)/서동철 논설위원

[길섶에서] 이런 조의(弔意)/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6-06-03 21:10
업데이트 2016-06-03 21: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컴퓨터 자판을 두드려 기사를 쓰기 시작한 지 20년이 넘은 것 같다. 그러다 보니 글씨를 쓰는 손의 기능은 크게 퇴화하여 이제는 내가 쓴 글자를 내가 못 알아볼 지경이 됐다. 이런 와중에서도 갈수록 자신 있게 쓰게 되는 글자도 있으니 바로 ‘부의’(賻儀)다. 가까이하지 않아야 좋은 글자건만 써야 할 일은 더 잦아지니 이런 게 인생인가 보다.

엊그제도 그랬다. 지방 소도시 요양병원의 장례식장은 북적거렸다. 문상을 마치고 언제나처럼 부의를 전달하려 하니 받지 않는단다. 돌아가신 어르신이 유언처럼 하신 말씀이 “내가 죽거든 아무것도 받지 말고 밥 한 끼 잘 대접해서 보내 드리라”는 것이었다고 한다. 상청(喪廳)을 채우고 있는 농촌 동네 이웃들에게 어르신의 뜻은 더욱 사려 깊게 다가오지 않았을까 싶다.

그런데 이 아름다운 뜻이 문상할 시간적 여유가 없는 사람들에게는 고민을 안겨 주었다. 누군가에게 전달을 부탁하거나, 상주의 은행 계좌에 송금을 하기도 하지만 소용없어진 것이다. 결국 직접 전화를 걸어 위로하는 방법밖에는 남지 않는다. 어르신은 ‘봉투’가 아니라 목소리로 전하는 조의(弔意)를 듣고 싶으셨나. 문득 생각했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6-06-04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