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개저씨 타령/김성호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길섶에서] 개저씨 타령/김성호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김성호 기자
입력 2016-04-08 18:00
업데이트 2016-04-08 18: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개저씨 짜증 나….”“…우리 꼰대는….” 옆자리의 대화가 자꾸 귀에 거슬린다. 눈부신 봄꽃 유혹에 홀려 잠깐 궁둥이를 붙인 아파트 놀이터 벤치. 자지러지게 농염한 춘화(春花)들은 한없이 예쁜데, 주고받는 말들이 왜 이리 추할까. 모른 척 꽃들과 눈웃음을 주고받으려니 말끝마다 ‘개저씨’ 악센트가 송곳처럼 귀를 후벼 판다

곁눈질로 옆자리의 동태를 훔치자니, 20대 후반쯤의 젊은 커플. 꽃 자태를 놓치기 아쉬워 눈은 꽃을 향해 열고 귀는 옆 커플에 주파수를 맞췄는데. 말 태가 고약하다.

“그 개저씨가 오늘은….” 여인의 앙칼진 선 타령에 남자의 대꾸가 가관이다. “하여튼 꼰대들이란….” 주거니받거니 직장 상사를 향한 푸념의 대거리인 듯하다.

꼰대야 우리네 젊은 날에도 자주 입에 올렸던 친숙한 비어일 텐데, 개저씨는 뭔가. 한참을 도청한 끝에 알아낸 말의 정체가 민망하다. 아랫사람을 멋대로 대하는 나이 든 윗사람, ‘개 같은 아저씨’의 뉘앙스로 가닥이 잡힌다.

나도 50대 중반, 직장에서 윗사람 축에 드는데. 어디선가 이 몸도 ‘개저씨 타령’의 입방아에 오르고 있진 않을까.

김성호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kimus@seoul.co.kr
2016-04-09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