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건배사/강동형 논설위원

[길섶에서] 건배사/강동형 논설위원

강동형 기자
입력 2016-02-25 00:04
업데이트 2016-02-25 01: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술자리에서 빠지지 않는 것은 ‘건배사’다. 술자리가 잦다 보면 다양한 건배사를 듣게 된다. 커닝을 하고 싶어도 술이 약해서인지 곧바로 잊어버린다. 겨우 할 수 있는 건배사가 ‘우리 모두의 건강을’이라는 무미건조한 레퍼토리다. 그래도 맨 정신이면 생각나는 건배사 두 개가 있다. 하나는 ‘위·하·여’이고 또 하나는 ‘간·바·이’다. ‘위·하·여’는 ‘위기는 없다, 하면 된다, 여러분과 함께라면’을 줄인 말이라고 한다. 상사가 직원들과 회식 자리에서 선창하면 그럴듯하게 들린다.

지난 주말 포항에 있는 포스코 홍보관을 견학할 기회를 얻었다. 견학을 마치고 식사 자리에서 안내를 맡은 막내가 건배사를 하는데 ‘간·바·이’를 선창하면 ‘간바이’라고 해 달란다. 건배의 일본 발음이 간바이여서인지 잠시 이상한 생각이 들었다. ‘간·바·이’는 ‘간절히, 바라면, 이루어진다’는 의미를 갖는다는 부연 설명을 듣고서야 일행의 얼굴이 펴졌다. 반전이었다. 우리는 모두 ‘간·바·이’를 유쾌하게 외쳤다.

애주가 선배가 탈이 났다는 얘기를 전해 듣고 문안했다. 앞으로 술을 마시면 안 된단다. 그 선배가 ‘건배사’를 할 수 있길 기원한다. 간·바·이.

강동형 논설위원 yunbin@seoul.co.kr
2016-02-25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