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자식 월급/최광숙 논설위원

[길섶에서] 자식 월급/최광숙 논설위원

입력 2016-02-02 22:34
업데이트 2016-02-03 00: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학 졸업 후 일을 하면서 월급의 일정 부분을 어머니께 드렸다. 결혼 후에는 시댁에도 매월 똑같이 용돈을 드린다. 많이는 못 드려도 그게 힘들게 자식 키운 부모님한테 해야 할 최소한의 도리라고 여겼다. 내 또래의 친구들도 사정은 비슷하다.

그런데 요즘 주변을 보면 자식들이 번듯한 직장을 다녀도 경제적 지원을 하는 부모들이 적지 않다. 지인의 딸은 유명 로펌에서 변호사로 일한다. 그런데도 지인은 딸에게 용돈은 물론 옷과 구두 등 생활에 들어가는 모든 비용을 기꺼이 지불한다. 딸의 연봉이 자신보다 많지만 딸이 어렵게 번 돈을 한 푼도 쓰게 하고 싶지 않다고 했다.

하지만 한 고위 공직자는 최근 취직한 딸에게 생활비와 대학 학자금을 내라고 통보했다고 한다. 딸이 경제 활동을 하니 그게 옳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다만 생활비는 결혼 전까지만 보태도록 하고, 학자금은 결혼 후에도 받을 것이란다. 딸도 아빠의 제안에 흔쾌히 동의하며 매월 100만원을 생활비로 내기로 했다고 한다. 어느 부모인들 자식이 벌어 온 돈이 귀하지 않겠는가. 귀한 돈일수록 잘 쓰도록 가르치는 것도 부모의 몫이 아닐까 싶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6-02-03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