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붉은 달/문소영 논설위원

[길섶에서] 붉은 달/문소영 논설위원

입력 2014-10-10 00:00
업데이트 2014-10-10 00: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8일 밤 붉은 달이 떴다. 황사로 하늘이 뒤덮인 4월도 아닌데 10월에 휘영청 밝은 달이 어떻게 붉은 달이 되었나 싶겠지만, 개기월식(皆旣月蝕) 덕분이다. ‘만월이 이미 다 좀먹었다’는 뜻이지만, 한자의 의미를 이해하기 어려운 요즘 세대에게는 토털 루나 이클립스(total lunar eclipse)라는 영어 표현이 더 이해하기 쉬울 듯하다. 개기월식은 지구와 태양 사이에 달이 들어가 지구의 그림자에 달이 완전히 가려지는 현상인데 만월에만 일어난다. 달 그림자에 가려진 태양은 검은 해가 되지만, 지구 그림자에 가려진 달은 붉은 달이 된다. 태양광이 지구 대기층을 통과할 때 굴절돼 주로 붉은빛이 달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서양 민담에 따르면 블러드 문(blood moon)이라 불리는 핏빛 붉은 달이 뜨면 늑대인간은 더욱 포악해진다고 한다. 동양에선 정변 등 불길한 징조였으나 이제는 우주쇼에 불과하다.

붉은 달을 보려고 지난밤에도 야외에서 술을 마셨건만 빌딩에 가려 보지 못했다. 누군가는 붉은 달을 하현달이 뜬 것으로 오해해 사진도 안 찍었단다. 2011년 이후 3년 만의 월식을 놓쳤으니, 내년을 기약해야겠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4-10-10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